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0617
한자 霧巖寺極樂寶殿
영어음역 Muamsa Geungnakbojeon
영어의미역 Muamsa Geungnakbojeon Hall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성내리 산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손태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39년연표보기
현 소재지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성내리 산1 지도보기
성격 불교 건축
양식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3칸
소유자 대한불교 조계종
관리자 대한불교 조계종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성내리 무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개설]

무암사는 창건 연대는 알기 어려우나 무암사 극락보전의 망와[1740년]와 상량문[1739년], 극락보전의 주불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조선 후기], 부도 2기 등으로 보아 조선 시대에 창건되거나 중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산지 가람의 형태로, 사찰의 사방으로는 금수산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고 동쪽으로는 계곡이 형성되어 있다. 가람 배치는 주불당인 무암사 극락보전을 중심으로 뒤편으로 산신각과 칠성각이 있고, 아래에 요사채 2동이 있는 형태이다.

[위치]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성내리 안말마을에 들어서서 마을회관의 우측으로 나 있는 도로를 따라 2.5㎞ 정도 올라간 금수산 자락 기슭에 위치한다.

[변천]

무암사 극락보전은 지붕에 올려져 있는 망와에 ‘건륭오년연구편수승구준계심금초관구방(建隆五年蓮口片壽僧口俊戒沈金肖官口方)’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는 것으로 보아 건륭 5년인 1740년(영조 16)에 건립 또는 중수되어 현재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무암사 극락보전은 극락전으로 보이며 3단으로 된 높은 석축 위에 세워진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이다. 장방형으로 다듬은 화강석으로 바른층쌓기와 허튼층쌓기를 병행한 석축에는 어칸과 좌우에 계단이 마련되어 있고, 기단 면에는 박석이 깔려 있으며 어칸 앞에 자연석 섬돌이 놓여 있다.

주초석은 한 면이 긴 자연석의 덤벙주초 위에 싸리나무로 만든 원주를 세우고 있다. 이 지역 사람들에게 신목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연륜이 오래되어 연질의 섬유질이 탈락된 느티나무의 일종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공포는 창방 위에 평방을 두고 주간에도 1기씩의 주간포작이 있는 규모가 작은 1출목의 다포계이며, 가구는 긴보 7량이다.

지붕은 풍판을 설치한 겹처마의 맞배지붕이다. 처마선은 수평에 가깝고 막새기와는 장식되지 않았다. 문은 교살문이고, 내부에는 닷집을 만들고 목조아미타삼존불과 지장탱화를 안치하고 있다. 후면에는 4단으로 석축하여 화계를 꾸미고 있다.

산신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 규모의 자연석 기단 위에 높은 원형주초를 놓고 원주를 세우고 있다. 기둥머리에는 주두 없이 장혀 받친 납도리를 모두 뺄목으로 처리하고 있다. 정면에는 쌍여닫이 띠살문과 측면에는 격자살창을 설치하고 있다. 가구는 납도리의 3량가이고, 지붕은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현황]

무암사 극락보전은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번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내부에는 충청북도 유형 문화재 제214호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주불로 안치하고 양 옆에 근래에 조성한 지장보살·관음보살을 협시불로 봉안하였다. 극락전의 과거 현판이 측면에 걸려 있어 원래는 극락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