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1827
한자 白雲面 뱃재 由來
영어음역 Baegun-myeon Baetjae Yurae
영어의미역 Origin of Baetjae in Baegun-myeon
이칭/별칭 「뱃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화당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82년연표보기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4년연표보기
관련 지명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화당리 지도보기
채록지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화당리
성격 전설|지명 유래담
주요 등장 인물 경순왕
모티프 유형 용화산 미륵불을 향해 절한 경순왕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화당리에서 뱃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백운면 뱃재 유래」경순왕(敬順王)[? ~978]이 황산사(黃山寺)에서 종소리가 울리면 용화산 암벽에 조각된 미륵불에게 절을 올렸다는 지명유래담이다. 백운면 화당리에서 강원도 원주로 넘어가는 고개를 뱃재 또는 배령(拜嶺), 배치(拜峙)라고 한다. 또한 백운면 방학리에는 경순왕의 이궁지(離宮址)가 있다.

[채록/수집 상황]

1982년 충청북도에서 발행한 『전설지』에 실려 있다. 또한 1999년 한국국악협회 제천시지부에서 간행한 『전설지』와 2004년 제천시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제천시지』 등에도 이를 참고하여 동일하게 수록하고 있다. 이들 문헌에는 모두 「뱃재[拜嶺]」로 되어 있다.

[내용]

경순왕은 신라 56대 왕위에 오른 지 9년 만에 왕건(王建)[877~943]에게 신라 천 년 사직을 물려주고 스스로 신하의 예를 취하였다. 왕건경순왕을 정승의 예로써 대우하고, 신라의 옛 땅을 식읍(食邑)으로 주었다. 그러나 경순왕은 각지의 명산을 찾아다니다가 방학리에 이궁(離宮)인 동경저를 짓고 머물렀다.

또한, 강원도 원주 용화산 암벽에 미륵을 조각케 하고, 황산사에 종을 달게 하였다. 경순왕은 매일 아침과 저녁으로 황산사의 스님을 시켜 종을 치게 하였다. 그리고 지금의 원주로 넘어가는 고개에 가 있다가 종소리가 나면 미륵불을 향해서 절을 올렸다. 망국(亡國)의 왕으로 천 년 사직과 백성에게 속죄하는 절이었다. 그래서 이 고개를 뱃재, 배치라고 불렀다.

[모티프 분석]

「백운면 뱃재 유래」의 주요 모티프는 ‘용화산 미륵불을 향해 절한 경순왕’이다. 여기에서의 절은 망국의 왕으로 신라 천 년 사직과 백성에게 속죄하는 절이다. 이야기는 신라 마지막 왕의 처량하고 애처로운 모습을 ‘뱃재’와 연계해서 전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6.09.30 내용 수정 도곡리를 화당리로 수정
2016.09.30 내용 수정 백운면 도곡리 -> 백운면 화당리. 도곡리에는 경순왕의 이궁지가 있고 -> 방학리에는 경순왕의 이궁지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