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1961
한자 忠州靑龍寺址普覺國師塔-獅子石燈
영어의미역 Lion Stone Lantern in Cheongyong Temple Site Leader of the Nation Bogak Jeonghyewollyung Stupa
이칭/별칭 청룡사 사자석등
분야 종교/불교,문화·교육/문화·예술,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산 32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엄기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9년 5월 22일연표보기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 보물 제65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 보물 재지정
성격 석등
건립시기/연도 1392년연표보기
재질
높이 200㎝
소재지 주소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산 32 청룡사지지도보기
소유자 국유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청룡사지에 있는 사자를 대석으로 삼은 조선 전기 사각석등.

[개설]

청룡사지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산32번지 일대에 있는 사지로, 조선 초기 건립된 주목할 만한 부도와 탑비가 남아 있다. 그동안의 지표조사와 여러 관련 기록에 의하면 청룡사는 고려시대에 창건되어 조선 후기까지 법등이 이어졌던 것으로 밝혀졌다. 사지에서는 여러 동의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불교계의 위축으로 불사(佛事)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부도의 건립도 왕실과 관련된 일부 고승들을 제외하고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청룡사지에는 고려 말기 주요하게 활약하다가 1392년 9월 입적한 보각국사(普覺國師) 혼수(混修)[1320~1392]의 부도를 비롯하여 탑비·석등 등이 남아 있어 당시 사찰의 위상이 상당히 높았음을 알 수 있다.

[건립경위]

부도는 신라와 고려시대에는 국사(國師)와 왕사(王師)를 역임하였거나 그러한 지위에 상응하는 예우를 받았던 고승들에게 세워졌던 사후(死後) 기념적인 묘탑(墓塔) 조형물이었다. 조선 전기는 불교계가 위축되면서 부도의 건립은 드물게 이루어졌다. 청룡사 보각국사 정혜원륭탑은 1392년 12월경에 건립되었으며, 태조 이성계가 상당한 관심을 갖고 직접 내신(內臣)을 파견하여 공사를 감독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국왕이 중앙에 소속된 장인을 파견하여 부도를 비롯하여 석등을 건립하도록 했을 것으로 보인다. 부도 건립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앞에 석등을 배치하지 않았는데, 조선 초기 건립된 일부 부도들의 경우 왕릉 석조물 배치법의 영향을 받아 석등이 배치되기도 했다. 이 석등은 부도에 대한 공양의 의미를 더하기 위하여 부도 앞에 배치·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위치]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산32번지 일대에 남아 있는 청룡사지 북서쪽의 능선에 건립된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바로 앞쪽에 세워져 있다.

[형태]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은 부도와 상석(床石)이 있는 석축단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사후 기념물이라 할 수 있는 묘탑 앞에 석등을 세웠으며, 한단 낮은 곳에 석등을 배치한 것으로 보아 왕릉의 석물 배치법과 강한 친연성을 보인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부도와 석등을 세운 장인은 중앙 정부에 소속된 우수한 석공이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석등은 크게 기단부·화사석(火舍石)·옥개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는 아래쪽에 사각형의 대석을 마련하였으며, 그 위에 웅크리고 앉아 있는 사자상을 놓아 석등을 받치도록 했다. 석등에서 기단부에 사자상을 배치하는 것은 통일신라시대 이후 일부 석등에서 채용된 수법이었다. 사자상 위에는 사각형 낮은 간주석(竿柱石)을 받치기 위한 별도의 받침대를 마련하였다.

간주석은 사각형으로 각 면에 안상을 조식하였다. 상대석은 8엽의 앙련문(仰蓮紋)이 장식되어 있는데, 돋을새김이 높아 우수한 기법을 보이고 있다. 상대석 상부에는 별도의 갑석형(甲石形) 받침을 사각형으로 마련하였다. 화사석은 앞뒤 면은 사각형의 화창(火窓)을 뚫어 관통되도록 하였으며 모서리에는 굵은 원주형 기둥을 세웠다.

옥개석은 하부에 낮은 받침과 추녀를 새겼으며 처마부를 치켜 올려 경쾌한 인상을 주도록 했다. 옥개석 상면은 볼록하게 호형(弧形)을 그리도록 치석하였고 마루부는 반원형의 돌기대(突起帶)가 돌출되도록 했다. 옥개석 상부에는 상륜부가 결구된 홈이 시공되어 있다.

[금석문]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의 비문에 보각국사의 행적과 부도 건립에 따른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석등도 부도와 동시에 건립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현황]

청룡사지 북서쪽으로 형성된 능선의 일정한 공간을 조성하여 앞쪽에 석등을 부도와 나란히 배치하였다. 당시 부도의 주인공인 보각국사 혼수가 국사를 역임한 승려였으며, 태조 이성계로부터 높은 존경을 받았기 때문에 왕릉의 석물 배치에 준하는 배치법이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석등은 1976년 부도와 함께 주변에 흩어져 있던 것을 복원하였으며, 상륜부가 결실되기는 했지만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1979년 5월 22일 보물 제65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일반적으로 부도와 탑비가 한 쌍으로 건립되는데, 부도는 승려 입적 직후 건립되고 탑비는 비문을 찬하는 기간이 다소 걸려 한참 후에 건립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석등은 1392년 12월경 부도와 함께 치석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석등의 구체적인 건립 시기를 알 수 있어 편년 기준 석탑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높다. 또한 고려 말과 조선 초기 건립된 부도들 중에서 부도 앞에 석등을 건립하는 경우가 간혹 있었다.

이러한 배치법은 왕릉 석조물 배치법과 상통하고 있다. 이를 보아 부도가 묘탑으로서의 조형물이기 때문에 왕릉 배치법을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석등도 경기도 양주 회암사지에 남아 있는 부도들과 함께 왕릉 배치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석등의 하대석을 조선 초기에는 보기 드물게 사자상을 배치하였다는 점에서도 장인의 배려를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5.04.16 항목명 수정 청룡사지 보각국사 정혜원륭탑전 사자석등->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으로 수정(2015.4.16)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