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875 |
---|---|
한자 | 大邱 巴洞 - |
이칭/별칭 | 대구 파동 지석묘군,신천 우안의 고인돌[지석묘군],신천 유역의 고인돌[지석묘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676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민선례 |
조성 시기/일시 | 청동기시대 - 대구 파동 고인돌 조성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3년 - 대구 파동 고인돌 조사 |
소재지 | 대구 파동 고인돌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676
![]() |
성격 | 고분 |
양식 | 고인돌 |
크기(높이,지름) | 260㎝[상석 길이]|195㎝[상석 너비]|205㎝[상석 높이]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일대에 있었던 청동기시대 고인돌.
대구 파동 고인돌은 상동 고인돌Ⅰ의 남쪽에 인접하여 있으며, 대구 상동 고인돌[상동지석묘군], 대구 중동 고인돌과 함께 ‘신천 우안의 고인돌’ 또는 ‘신천 유역의 고인돌’로 불린다. 대구 파동 고인돌은 1983년 조사 당시에는 1기가 있었으나 ‘수성관’이라는 클럽이 들어서면서 파괴되어 사라졌다.
대구 파동 고인돌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676번지 일대에 있었다. 현재 수성못오거리의 남서쪽에 있는 형우호수마을이라는 연립주택이 있다.
대구 파동 고인돌 덮개돌[상석(上石)]의 크기는 길이 260㎝, 너비 195㎝, 높이 205㎝이며, 재질은 현무암계이다. 덮개돌 아래에는 고임돌[지석(支石)]로 추정되는 천석이 확인되었다.
대구 파동 고인돌은 현재의 주택이 들어서기 전부터 모두 없어져서 유구의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