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1621 |
---|---|
한자 | 六龍沼 |
영어공식명칭 | Yukyongso |
이칭/별칭 | 「여섯 용의 못」,「용못」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주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다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주리에서 육룡소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육룡소」는 승천하던 용이 꼬리로 바위를 옆으로 옮겨서 깊은 소의 흔적은 사라졌지만 여섯 마리의 용이 승천했다고 하여 '육룡소(六龍沼)'라고 한다는 연못 유래 전설이다. 또한 가창면 주리 158번지 부근의 개울가에 비스듬히 있는 큰 바위가 용이 옮겨 놓은 바위라는 암석 유래 전설이다. 이를 「여섯 용의 못」, 「용못」 등이라고도 한다.
2014년 달성 문화 재단과 달성 군지 간행 위원회에서 간행한 『대구의 뿌리 달성』의 가창면 설화 항목에 「육룡소」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달성군 가창면 주리 158번지 부근의 개울가에 큰 바위가 비스듬히 서 있는데, 이 바위 밑의 개울을 '육룡소'라고 부른다. 옛날 아주 먼 옛날, 이곳 좁은 개울에 큰 바위가 가로막혀서 항상 개울물이 이 바위 위로 넘는 깊은 소가 있었다. 이 소 때문에 비가 많이 오면 부근의 논과 밭에는 물이 넘쳐 농작물의 피해가 빈번하였다. 그런데 하루는 갑자가 먹구름이 모여들고 검은 하늘에 천둥과 번개가 치더니 이 소에서 용이 승천을 하기 시작했다. 한 마리씩 차례로 승천하다가 여섯 번째 용이 하늘로 올라가면서 꼬리로 개울을 가로막고 있던 바위를 옆으로 쳐서 소를 헐어 버렸다. 그 후로는 개울물의 범람도 없을 뿐만 아니라 개울을 가로막았던 바위가 옆으로 삐뚤게 서 있어서 소의 흔적은 보이지 않으나 여섯 마리의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고 하여 지금도 '육룡소'라 부르고 있다고 한다.
「육룡소」의 주요 모티프는 '용의 승천'이다. 「육룡소」의 전승 집단은 용과 관련하여 형성된 육룡소의 신성함을 소박한 언어로 전하여 마을의 위상을 높이고자 하였다. 「육룡소」에는 용에 대한 신앙적 관념을 바탕으로 전개되는 생활문화의 단면이 잘 나타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