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1405
한자 鳳舞亭 十景
영어공식명칭 Ten Sight Views of Bongmuje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786년 - 「봉무정십경」최상룡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849년 - 「봉무정십경」최상룡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896년연표보기 - 「봉무정십경」간행
배경 지역 「봉무정십경」 -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지도보기
성격 한시|근체시|칠언절구
작가 최상룡

[정의]

조선 후기 학자인 최상룡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에 있는 봉무정 주변 열 가지 경치를 읊은 한시.

[개설]

최상룡[1786~1849]은 본관이 경주(慶州)이다. 자는 덕용(德容), 호는 봉촌(鳳村)이다. 최상룡은 달성(達城)의 강동(江洞)[현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에서 출생했다. 최상룡은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가 학문을 연구했다. 세상이 어지러워 분경(奔競)[엽관운동]이 심해짐을 보고 향리로 돌아와 독암서당(讀巖書堂)을 지어 후진을 가르치니 배움을 청하는 사람이 문전을 메웠다. 당시 대학자인 홍직필(洪直弼)·유치명(柳致明)·김익동(金翊東) 등과 경전과 예서에 대하여 의견을 나누었다. 경전(經典)의 주요 내용을 도시(圖示)[그림이나 도표 따위로 그려 보임]하여 맥락을 분명하게 가르쳤다. 성리학과 훈고학을 깊이 연구해 「사서변의(四書辨疑)」·「재이록(在邇錄)」·「소학췌의(小學贅疑)」·「계몽차의(啓蒙箚疑)」·「정주서변의(程朱書辨疑)」 등 많은 논문을 남겼다. 저서로는 『봉촌문집(鳳村文集)』 22권이 있다.

[구성]

「봉무정십경(鳳舞亭十景)」에는 「독암괴림(獨巖槐林)」, 「수야농가(藪野農歌)」, 「금호범주(琴湖泛舟)」, 「공산편운(公山片雲)」, 「검리조연(黔里朝烟)」, 「단산낙조(丹山落照)」, 「동화귀승(桐華歸僧)」, 「화담조간(花潭釣竿)」, 「해창적로(解倉糴路)」, 「노정명안(鷺亭鳴鴈)」을 제재[작가가 작품의 주제를 나타내기 위하여 선택한 구체적인 재료]로 한 칠언절구 10수(首)이다.

[내용]

「봉무정십경」[봉무정에서 바라 본 열가지 경치] 중 몇 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독암괴림」

묘조요격북괴림(廟朝遙隔北槐林)[조정은 북으로 괴림과 멀리있지만]/정야나문사죽음(靜夜那聞絲竹音)[고요한 밤 관현악 소리나는 듯 하네]/

단원청음분사면(但願淸陰分四面)[원컨대, 맑은 그늘이 온 세상에 나누어져]/초량수처여인심(招凉隨處與人尋)[가는 곳마다 시원한 바람이 불어왔으면]

2. 「수야농가」

함외춘전일색청(檻外春田一色靑)[난간 밖의 봄밭은 한결같이 푸르니]/용천인지기생령(用天因地幾生靈)[천지로 말미암아 생명이 얼마나 생기는가]/

태평성화강구창(太平聲和康衢唱)[태평성대를 거리마다 노래하고]/점득풍년호우성(占得豐年好雨星)[비를 좋아하는 필성이니 풍년이 들겠구나]

3. 「금호범주」

일망연파대박두(日望烟波大舶頭)[날마다 뱃머리에서 연파노인을 바라니]/장오기시긍맹구(檣烏豈是肯盟鷗)[장오는 어찌 기꺼이 갈매기와 맹세하였나]/

문진인도강천모(問津人到江天暮)[뱃사공에게 강 하늘이 저물려 한다지만]/고설중류잠불류(鼔枻中流暫不留)[중류에서 노를 저으며 잠시도 머무르지 않네]

4. 「공산편운」

노석탐간상조문(老釋耽看象鳥文)[늙은 중이 새를 닮은 글을 바라보니]/오운방출반간분(塢雲放出半間分)[구름이 솟아 나와 반 칸으로 나누는 구나]/

수유일점등천거(須臾一點騰天去)[잠시 후 점 하나 하늘을 떨치며 날아가니]/고학응혐속객문(孤鶴應嫌俗客聞)[외로운 학이 속객의 소리를 싫어해서겠지]

[특징]

「봉무정십경」 중 독암괴림은 1·2·4구(句)에 침(侵)계열의 운자를 두었고, 수야농가는 1·2·4구(句)에 청(靑) 계열의 운자를 두었다. 금호범주는 1·2·4구(句)에 우(尤)계열의 운자를 두었고, 공산편운은 1·2·4구(句)에 문(文) 계열의 운자를 두었다.

[의의와 평가]

「봉무정십경」최상룡봉무정 주변에 풍광이 좋은 곳을 주제로 하여 읊은 한시 모음집이다. 10수 모두가 칠언절구로 이루어져 있고, 최상룡의 풍취와 삶의 지향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