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2197
한자 繡褓
영어의미역 embroidered wrapping cloth
이칭/별칭 강릉수보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강원도 강릉시
집필자 윤성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보자기
재질 겉감: 면직물|안감: 명주

[정의]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자수(刺繡)를 놓은 보자기.

[개설]

강릉 지방 특유의 문양이 새겨진 민보(民褓)를 말하며 강릉수보(江陵繡褓)라고도 한다.

[만드는 법]

수보의 겉감은 면직물이고 안감은 명주를 많이 썼다. 이것이 견직물과 견사로 제작된 여타 자수품과 다른 점이다. 수보의 문양으로는 나무, 새 무늬가 가장 많고 여기에 곁들여 학, 봉황, 공작 등의 서조(瑞鳥)와 나비, 풀, 벌레, 각종 잡새들을 수놓았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수보 문양 가운데 가장 빈번히 사용된 것은 대칭을 이루고 있는 나무 문양이다. 이는 강릉 지방의 독특한 자연환경과 속신을 반영한 것이다. 즉, 강릉 지방은 수십 년 전만 해도 험한 산세와 울창한 삼림으로 둘러싸여 있던 지역으로 자연스레 나무가 자수의 주요 모티브로 등장하였다. 또 다른 면으로는 강릉단오제에 쓰이는 화개(花蓋), 즉 괫대를 본 뜬 모양으로 짐작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나무 형태와는 달리 나무를 위에서 내려다보는 형태(부감법)로 도안이 이루어져 있다. 아마도 단오굿 동안 외출을 허락받은 조선시대 여성들이 도안화한 것으로 짐작된다.

이 밖에 꽃은 복(福)을, 열매는 다산(多産), 특히 다남(多男)을 상징한다. 수보의 문양이 복락기원(福樂祈願)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수(壽)’, 복(福)‘ 과 같은 문자문(文字紋)도 보자기 중심부나 가장자리에 다른 문양과 어울려 수놓아져 있다.

[용도]

보자기는 사용계층에 따라 궁보와 민보로 나누며, 민보는 제작 방법에 따라 조각보, 수보, 식지보, 판보, 그림보 등으로 나눈다. 그 중 수보는 주로 혼례 등의 길사(吉事)에만 쓰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