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아직도 혁명은 계속되고 있다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C020301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구암리 구수마을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임선화

[무장기포의 도화선이 된 고부 봉기]

동학농민혁명은 고부 농민 봉기가 도화선이 되어 일어났다. 고부에는 조선 후기부터 왕실 소유의 토지가 몰려 있었는데, 이를 관리하는 관리의 비리와 조세 운반을 맡은 전운사 조필영의 강제적인 세금 징수, 그리고 지역 관리의 비리 등으로 이 지역 농민들은 관리들에 대한 불만과 국가에 대하여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여기에 1892년 4월 부임한 고부군수 조병갑의 포악하고 가혹한 정치가 전봉준을 비롯한 이 지역의 지도자들로 하여금 대규모 농민 봉기를 일으키게 한 것이다.

전봉준과 농민군 지도자들은 1893년 11월 사발통문[호소문이나 격문 따위를 쓸 때 누가 주모자인가를 알지 못하도록 서명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을 사발 모양으로 둥글게 삥 돌려 적은 통문]을 돌려 봉기를 준비했으며, 이 계획은 1894년 1월 10일 새벽 고부관아를 점령하면서 실행되었다.

고부 봉기 소식을 접한 정부는 조병갑 대신 용안현감 박원명을 고부군수로, 장흥부사 이용태를 안핵사[조선 후기 지방의 민중들이 봉기했을 때 정부에서 임시로 보낸 관리]로 임명하였다. 새로 부임한 박원명이 고부의 농민을 달래고 회유하자 사태가 진정되는 듯하였다. 그러나 안핵사 이용태가 고부에 들어와 봉기에 참여한 농민군을 색출하고 가족까지 잡아들이는 등 만행을 저지르자, 전봉준은 다시 농민군을 모아 이웃 마을인 무장으로 옮겨 새로운 싸움을 준비하였다.

[구수내에서 전주성까지 이어진 혁명의 깃발]

전봉준손화중김개남 등과 함께 1894년 3월 20일 구수내에서 봉기했다. 이로써 제1차 동학농민혁명이 시작된 것이다. 농민군은 고창ㆍ흥덕을 거쳐 3월 23일 고부관아를 점령하였다. 25일에는 백산에서 농민군 부대를 편성하고 지휘부인 호남창의대장소를 조직했으며, 4대 강령을 발표하고 궐기를 촉구하는 격문을 띄웠다. 농민군은 26일 백산을 떠나 태인을 거쳐 4월 1일 금구 원평에 진을 쳤다. 다급해진 정부는 4월 2일 중앙군인 장위영 정령관 홍계훈을 양호초토사로 임명하였다. 장위영군은 4월 4일 병정 800명으로 편성되어 군산항을 향해 출발하였다.

농민군은 중앙군의 파견 정보를 입수하고, 고부 도교산으로 옮겨 황토현에 진을 쳤다. 이곳에서 전라감사 김문현이 파견한 지방군인 감영군을 격파한 농민군은 흥덕과 고창을 거쳐 무장 여시뫼봉에서 군을 정비한 뒤 법성ㆍ영광ㆍ함평을 거쳐 장성으로 이동하였다. 농민군은 장위영군 선발대인 이학승의 부대를 장성 황룡촌 전투에서 격파한 뒤, 바로 정읍과 금구 원평을 거쳐 4월 27일 전주성에 들어갔다.

전주성에 들어온 농민군은 뒤를 따라온 홍계훈 군과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 그러나 정부에서 요청한 청의 군대가 조선에 들어오자 이를 빌미로 일본 군대까지 참전하였다. 이와 같이 청나라와 일본의 군대가 한반도에 주둔하게 된 상황에서 동학군과 정부 모두 신속한 결말을 원하게 되었다. 그 결과 전주성 공방전은 5월 8일 동학군과 정부가 전주화약을 맺음으로써 일단락되었다. 전주성에서 철수한 농민군은 정부의 개혁을 계속해서 요구하였다. 전라도 대부분 지역과 경상도ㆍ충청도 일부 지역에서 동학군이 요구한 개혁을 진행하였다.

[일제의 개입과 미완의 혁명]

그런데 6월 21일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과 6월 23일 청일전쟁의 발발은 동학 농민군의 새로운 봉기를 요구하였다. 특히 8월 17일 평양전투에서 청군을 물리친 일본군은 조선정부에 대한 내정 간섭을 노골화했고, 이에 따라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는 제2차 동학농민혁명이 9월 13일 삼례에서 시작되었다.

제2차 동학농민혁명에는 그동안 농민 봉기에 소극적이던 동학교단에서도 적극 참여하였다. 호남을 중심으로 충청ㆍ경상ㆍ경기ㆍ강원ㆍ황해도에서도 농민군들이 반봉건ㆍ반제국주의 투쟁에 동참하였다. 그러나 농민군은 10월 21일 목천 세성산 전투를 비롯한 10월 23일 이인전투, 24일 웅치전투 등의 공방전에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일본군의 화력을 이기지 못한 것이다.

더욱이 우금치ㆍ효포ㆍ웅치로 이어지는 전선에서 일진일퇴를 거듭하다가, 마침내 우금치 전투에서 결정적 패배를 당한 농민군은 퇴각을 거듭하였다. 남원의 김개남 농민군 역시 10월 14일 전봉준 농민군을 돕기 위해 급히 움직였으나 11월 13일 청주성 전투에서 패배하여 합류하지 못하고 말았다. 손화중의 농민군은 나주성 공격에 실패한 뒤 그 해 12월 군대를 해산하였다.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한 농민군은 논산ㆍ금산ㆍ원평전투에서 연이어 패배했고, 결국 태인전투를 마지막으로 군대를 해산하고 말았다. 농민군은 관군과 일본군의 추격을 받고, 양반 등 지배층의 보복까지 받아 곳곳에서 처참하게 진압되었다. 12월 1일 김개남은 태인에서 체포된 뒤 전주에서 처형되었고, 전봉준은 12월 2일 순창의 쌍치면 피노리에서, 손화중은 해를 바꿔 1895년 1월 6일 흥덕에서 각각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 최경선김덕명 등과 함께 3월 말에 처형되었다.

동학농민혁명은 양반 지배층과 일본 침략군, 친일 개화파 관료를 상대로 한 반봉건ㆍ반제국주의 농민 항쟁이었다. 그러나 관군과 일본군의 압도적 화력에 굴복 당함으로써 농민군이 지향한 봉건 착취 제도 철폐, 토지 제도 개혁, 외세의 경제 침략을 막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동학농민혁명은 중국의 태평천국운동, 인도의 세포이전쟁과 더불어 19세기 아시아 3대 농민 혁명의 하나로 자리매김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