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하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701942
한자 蝦卵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전라북도 군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진용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향토 음식
재료 하란 새우|알

[정의]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새우를 이용하여 만들어 먹은 향토 음식.

[개설]

전라북도 군산시 회현면 오봉리에서는 전통적인 함정 어업 도구인 찌기를 활용하여 하란 새우를 잡아 하란을 만들었다.

[연원 및 변천]

본래 하란으로 만드는 하란 젖이 전라북도 군산시 회현면 오봉 마을의 특산품으로 임금님 진상품이었다는 구전으로 보아 하란 젖의 역사가 깊음을 알 수 있다. 하란 젖은 하란 새우가 알을 낳는 11월경 새우를 잡아 알을 채취한 다음 채취한 알을 발효시켜 저장 보관한 음식이다.

일반적으로 조그마한 꿀단지에 엉겨 붙은 하란 젖을 보관하는데 마치 고약과 같이 반고체의 유동체 형태를 유지한다. 집에 손님이 올 경우 하란 젖을 한 수저 떠서 뚝배기 그릇에 담고 약간의 물과 백하 젖을 섞어 저어준 후 밥을 짓는 가마솥에 넣으면 하란이 부풀어 올라 마치 달걀찜처럼 생기는데, 색은 붉은 색을 띠며 맛은 달걀찜보다 좋았다고 한다. 오래 전부터 행해졌다는 하란 채취는 1960년경 중단되었다.

[만드는 법]

하란을 수집하는 찌기 어업은 추수가 끝나고 농촌이 농한기에 들어가는 음력 11월부터 시작된다. 11월부터 마을 주민들은 가족 단위로 찌기 발을 만들기 위한 갈대를 거둬들이고 짚으로 만든 새끼를 엮었으며, 찌기통의 제작에 필요한 재료인 ‘자오락’이라는 야생 들풀을 채집하였다.

‘자오락’ 새끼줄은 일반 짚으로 만든 새끼줄보다 질겼으므로 찌기통의 제작에 이용되었다. 발은 2m 정도 되는 갈대를 다듬어 짚으로 만든 새끼줄로 돗자리 엮듯이 엮었는데, 한발의 길이는 10m 정도 됐다고 한다.

찌기통은 만들기가 어려웠는데, 갈대를 1m 50㎝ 길이로 다듬어 ‘마목틀’이라는 기구를 이용하여 ‘파돌이’라는 바닷가 돌로 만든 실추를 이용하여 엮었다. 입구는 직경이 1m 정도 되는 참나무로 장방형 틀을 만들고, 주위에 ‘자오락’으로 만든 새끼줄을 이용해 겉피를 만들었는데, 입구는 정방형이지만 중간쯤에는 역시 참나무로 만든 둥근 나무틀이 있어 원형이 되며, 끝은 뾰족한 꽁지 모양으로 꽁지를 통하여 잡은 고기를 솥아 내었다.

찌기통은 외 틀과 내 틀로 구성되는데, 사각형 참나무 틀은 내 틀로 연결되어 내 틀로 들어간 새우를 외 틀에 가두게 하는 방법이다. 포획물은 찌기통의 꽁무니를 이용하여 수거하였다.

찌기는 먼 갯벌에 설치하는데 V자형의 발이 지그재그로 계속 이어지는 형태이며, 찌기통은 각각의 V자 안쪽에 하나씩 설치하는데 일반적으로 찌기통 30개가 연결된 형태를 한등이라 불렀다. 마을 주민 거의 모두가 찌기를 했는데 한 가족이 노동력의 여하에 따라 한 등 혹은 두 등을 운영하였다.

지그재그로 이어지는 발과 찌기는 말뚝으로 지탱하는데 말뚝은 1m 70㎝길이의 참나무로 길이 10m인 발의 양끝에 박았고, 찌기통은 양쪽 발 사이에 설치하므로 발끝의 말뚝 각각 두 곳씩 네 곳을 묶었으며, 찌기통의 꼬랑지도 말뚝에 묶었다고 한다. 찌기가 한 등 설치되면 그 앞이나 뒤로는 150m간격을 유지하고 찌기통을 설치하였는데 이 간격은 꼭 지켰다고 한다.

군산시 회현면 오봉 마을이 자리한 만경강 하구는 물살이 센 곳이라 밀물과 썰물 때는 웬만한 구조물은 다 떠내려가고 파손되기가 일쑤였다. 따라서 약한 갈대로 만든 찌기와 발은 물살과 직선으로 설치되어야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었기에 숙련된 어부가 찌기의 방향을 정하고 설치했는데, 마을에서는 찌기 설치에 숙련된 어부를 사공이라 불렀다고 한다. 또한 급한 물살 때문에 사용한 찌기통과 발은 소모품으로 버려졌고, 참나무 말뚝만 거두어 다음해에 이용하였다고 한다.

말뚝은 바닷물에 가장 강한 참나무를 사용했는데 인근에서 구할 수 없어 부안에서 공동 구입하여 배로 옮겨왔다고 한다. 찌기를 설치할 때는 한해 풍어를 빌며 용왕님께 각 가정별로 고사를 지냈는데, 떡과 정성어린 음식으로 치성을 드렸다고 한다. 찌기는 지게를 이용하여 인력으로 설치했으므로 어렵고 험한 노동이었는데, 찌기를 통해 잡아들이는 하란 새우와 하란 새우에게서 채취하는 하란으로 만드는 하란 젖은 가격이 비싸 마을 주민들의 주 소득원이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