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039 |
---|---|
한자 | 以澤堂 |
영어공식명칭 | Etaekdang |
이칭/별칭 | 여택당(麗澤堂)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로21번길 26[월계동 535-2]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용철 |
건립 시기/일시 | 1927년 - 이택당 건립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4년 2월 29일 - 이택당이 있는 무양서원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호로 지정 |
현 소재지 | 이택당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로21번길 26[월계동 535-2] |
성격 | 강당 |
양식 | 팔작지붕 |
정면 칸수 | 5칸 |
측면 칸수 | 2칸 |
문화재 지정 번호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호 |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무양서원(武陽書院)의 강당.
[개설]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인 이택당은 1927년 탐진최씨(耽津崔氏)가 세운 건물로 무양서원의 강당 역할을 하였다.
[위치]
이택당은 광산구 산월로21번길 26[월계동 535-2] 무양서원 내에 자리하고 있다.
[형태]
이택당은 무양서원 입구의 양쪽에 문을 두고 가운데 있으며,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이택당을 중심으로 서원 안에서 보면 왼편과 오른편에 합의문(合義門)과 합인문(合仁門)이 있다. 무양서원 건물 중에서 가장 크다.
[현황]
이택당의 현판이 걸려진 정면은 다른 강당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나무로 된 사각형의 양각(陽刻) 귀면문(鬼面紋)이 있다. 귀면문은 잡귀가 강당에 들어와서 공부에 방해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벽사(闢邪)의 의미가 있다. 각 원형기둥에는 주련(柱聯)이 붙어 있고, 교육과 관련된 글귀가 원문과 함께 번역되어 있다. 모든 것의 시작인 동쪽을 의미하는 합인문, 모든 것의 끝인 서쪽을 의미하는 합의문이 있다. 이것은 유학의 기본인 인의예지(仁義禮智)에서 왔다고 볼 수 있다.
원래 서원은 제사 기능과 교육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택당은 교육을 담당하던 건물이다. 탐진최씨 문중에서는 교육 정신을 이어받아 1945년 광산구 쌍암동에 무양중학교[현 비아중학교]를 설립하여 지금까지 교육기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택당은 '여택당(麗澤堂)'이라고도 쓰는데 '서로 붙어 있는 두 개의 연못'이라는 뜻으로 붕우(朋友)가 함께 학문을 강습하여 서로간에 이익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주역의 태괘(兌卦)에서 나오는 "두 개의 연못이 연결되어 있는 모습이 태(兌)이니 군자(君子)가 이를 따라 붕우간에 강습한다." 라는 글에서 뜻을 빌려왔다고 볼 수 있다.
강당 안으로 들어가면 현판에는 '이택당'이라고 부르면서 '여택당(麗澤堂)'이라고 입구와 달리 현판이 걸려 있다.
[의의와 평가]
이택당은 무양서원의 강당으로 선인들의 유지와 정신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는 동시에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공간으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