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445 |
---|---|
한자 | 義烈祠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광주광역시 서구 송풍로 42[풍암동 769-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효주 |
건립 시기/일시 | 1604년![]() |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868년 - 의열사 철폐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86년 - 의열사 재건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678년![]() |
현 소재지 | 의열사 -
광주광역시 서구 송풍로 42[풍암동 769-1]![]() |
원소재지 | 의열사 -
광주시 서구 금호동 만호마을
![]() |
성격 | 사우 |
양식 | 맞배지붕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1칸 |
소유자 | 광산김씨 |
관리자 | 광산김씨 |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에 있는 조선 후기 광산김씨 사우.
의열사는 광산김씨 충장공(忠壯公) 김덕령(金德齡)을 주벽으로 지평공 김덕홍(金德弘), 풍암공 김덕보(金德普) 3형제 등을 배향한 사우이다. 『광주읍지』에 따르면 주(州)의 서쪽 25리[10㎞] 에 있다. 처음 회재(懷齋) 박광옥(朴光玉)을 향사(享祀)하다가 1678년(숙종 4)에 김덕령을 합사(合祀)하여 의열(義烈)이라 사액(賜額)하였다.
광주광역시 서구 송풍로 42[풍암동 769-1]에 자리하고 있다.
1604년에 당부면 벽진촌에 벽진서원(碧津書院)으로 건립되었으며, 충장공 김덕령을 모시며 의열을 사액받아 의열사라 하였다. 이후 김덕홍과 김덕보를 추배하였으며,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1986년에 현재 자리에 재건되었다. 원래 의열사는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 산 31 만호마을에 있었다고 전해지나 찾을 수 없다.
의열사는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맞배지붕 건물이다.
의열사에는 충장공 김덕령이 1678년에 배향되었으나 1975년에 충장사가 건립되면서 배향 인물에서 배제되었다. 회재(懷齋) 박광옥(朴光玉)도 서원이 훼철될 때 영정을 운리(雲裏)의 본손재실(㡷孫齋室)로 이안하였다가 별도의 사우를 지어 운리영당이라 하였다.
의열사는 김덕령이 사후 60년 만인 1661년에 관직에 복원되고 배향된 사우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서원철폐로 본래 건물 자리와 흔적을 찾을 수 없어 현장 조사를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