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008
한자 武珍古城址
영어공식명칭 Mujingoseong fortress site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터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 산136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조한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8세기 말~9세기 초 - 무진고성지 1차 축조
건립 시기/일시 9세기 후반 - 무진고성지 2차 축조
폐지 시기/일시 9세기 중반 - 무진고성지 1차 폐성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8년|1989년 - 무진고성지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2차례 발굴 조사
문화재 지정 일시 1989년 3월 20일연표보기 - 무진고성지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4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1년 11월 16일~1992년 8월 27일 - 무진고성지 성곽 보수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2년 9월 9일~1993년 5월 8일 - 무진고성지 성곽 복원
소재지 무진고성지 -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 산136 일대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110[매곡동 산83-3]지도보기
성격
지정 면적 약 1,000m[남북 길이]|약 500m[동서 너비]|3,500m[둘레]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 일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고려시대의 성터.

[개설]

광주광역시 무진고성지(武珍古城址)장원봉[386m]을 중심으로 장대봉[350m]과 제4수원지 산 능선을 따라 조성되었다.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에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변천]

광주광역시 무진고성지는 1차로 8세기 말~9세기 초에 축조되었다가 9세기 중반에 폐성되었다. 후에 2차로 9세기 후반경에 다시 축조되어 12세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무등산 북쪽 지맥인 장원봉을 중심으로 잣고개의 장대봉과 제4수원지 안쪽 산 능선을 따라 조성되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무진고성지는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1988년과 1989년 2차례 발굴 조사를 진행하였다.

[현황]

무진고성지는 남북 길이 약 1,000m, 동서 너비 약 500m, 둘레 3,500m의 타원형이다. 계곡과 산 정상부를 함께 두른 포곡식(包谷式) 산성이다. 성벽은 능선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쌓았으며, 능선의 7~9부 지점을 'L' 자 형태로 다듬어 5단 정도의 돌로 쌓고, 돌과 경사면 사이에는 잡석으로 채워서 다졌다. 내부에는 17개의 건물지가 있다. '관(官)', '국성(國城)' 등 명문(銘文)이 있는 평기와 조각과 상서로운 새 문양[瑞鳥文], 도깨비 얼굴 모양[鬼面文] 등의 막새기와, 순청자(純靑磁), 상감청자(象嵌靑磁) 등이 출토되었다. 1989년 3월 20일에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무진고성지는 전라도 광주 지역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 성곽의 형태를 알 수 있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 『문화유적분포지도』-광주광역시(전남대학교박물관, 2004)
  •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