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1150
한자 農器具
영어공식명칭 Farm Implements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오

[정의]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주로 농사를 지을 때 사용했던 도구.

[개설]

농기구는 농사를 지을 때 사용하는 다양한 도구들을 말한다. 전라남도 해남 지역은 논이 많아 농사와 관련된 다양한 도구가 전하여 오고 있다. 해남 지역의 농기구는 농사 쓰임새에 따라 가는 도구, 삶는 도구, 매는 도구, 물 대는 도구, 거두고 터는 도구, 알곡 내는 도구, 말리고 갈무리하는 도구, 운반 도구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가는 도구]

가는 도구는 땅을 가는 데에 사용하는 도구로, 경서용구(耕鋤用具)라고도 한다. 쟁기, 괭이, 쇠스랑, 삽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쟁기와 괭이를 들 수 있다.

쟁기는 논밭을 가는 데에 쓰는 연장이며 주로 소에 매어 쓴다. 토양을 갈고 뒤엎고 작물 잔해를 파묻으며 잡초를 제거하는 데에 사용하는 농기구이다. 쟁기의 골격은 술과 성에로 이루어진다. 한마루가 이 둘을 단단히 고정한다. 술 끝에 보습을 끼우고 그 위쪽에 볏을 덧대며 술 바닥에는 땅게[쇠판]를 대어 고정한다. 술 중간에서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손잡이를 끼운다. 보습은 무쇠로 만들었으며 쟁기에 끼워 흙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볏은 뱃이라고 부르며, 무쇠로 만들고 일으킨 흙을 좌측으로 넘게 하여 이랑이 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땅게는 쟁기의 뱃 밑에 부착하는 쇠이며, 성에는 약간 구부러진 나무로 쇠와 쟁기를 연결한 것을 말한다. 멍에는 굽은 나무로 만들어 소의 목에 얹은 것을 말한다. 한마루는 땅을 깊게 갈거나 얕게 가는 것을 조정하는 장치이고, 방애는 반듯한 나무의 중앙을 뚫어 곳줄을 달아 쟁기와 연결한 부분을 말한다. 곳줄은 방애와 쟁기를 연결하는 쇠고리이다. 소주대는 소몸풀이라도 하는데, 소로 쟁기질을 할 때 소의 몸에 입혀서 쟁기와 연결하는 도구를 뜻한다.

괭이는 밭을 갈거나 골을 타거나 흙을 깨는 데에 쓰는 연장이다. 끝이 넓적한 날로 되어 있으며, 기역 자로 구부러진 끝은 굇구멍[창, 삽, 괭이, 맷돌 등의 자루를 박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멍을 이르는 통칭]으로 되어 있어 여기에 긴 자루를 낀다. 자루는 단단한 재질의 참나무나 느티나무로 만들며 길이는 대체로 150㎝ 안팎이다. 괭이는 보통 농사를 지을 때 사용하는 괭이와 약초 등을 캐러 다닐 때 사용하는 괭이로 구분하는데, 약초를 캐러 갈 때 사용하는 괭이는 농사에 이용되는 괭이에 비해 크기가 훨씬 작고 무게도 가볍다.

[삶는 도구]

삶는 도구는 파쇄용구(耙碎用具)라고도 하며 흙을 깨트리는 데 사용하는 도구를 말한다. 땅을 파쇄하는 농기구의 가장 대표적인 것은 써레이다. 써레는 갈아 놓은 전답에 종자를 뿌리기 전후에, 소에 달아 토양을 고를 때 사용하는 도구를 말한다. 통나무에 써레발을 박아 소에게 채워 쟁기질의 이랑을 고를 때 사용한다. 긴 토막나무에 둥글고 끝이 뾰족한 나무를 여섯 개에서 열 개가량 빗살처럼 나란히 박고 위에는 손잡이를 가로로 댄다. 토막나무에 대각을 이루도록 긴 나무를 박고 여기에 몸줄을 매어 소 멍에에 잡아맨다. 몸체는 소나무를 이용하지만 이는 참나무나 박달나무처럼 단단한 나무를 깎아 박는다.

[탈곡 도구]

탈곡 도구는 곡식의 낟알을 떠는 데에 쓰는 도구를 말한다. 대표적인 도구로 도리깨, 홀태, 탈곡기, 풍구, 키 등이 있다.

도리깨는 곡식의 이삭을 두드려서 알갱이를 떠는 데에 쓰는 농기구이다. 작대기 끝에 구멍을 뚫어 꼭지를 가로로 박아서 돌릴 수 있게 하고, 그 꼭지 끝에 두세 개의 휘추리를 잡아매서 휘둘러 가며 친다. 보리·밀·콩·녹두·팥·조·메밀 등을 타작할 때에 사용하는데 해남 지역에서는 ‘돌깨’라고도 부른다. 도리깨는 자루인 도리깨장부·도리깨꼭지·도리깨아들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도리깨장부는 주로 대나무를 많이 쓰고, 도리깨아들은 닥나무나 물푸레나무 등 단단한 나무를 사용한다. 도리깨로 이삭을 두드려 알갱이를 떠는 것을 ‘도리깨질’ 혹은 ‘돌깨질’이라고 한다.

홀태는 알곡을 훑어 내는 농기구이다. 길고 두툼한 나무 앞뒤 쪽에 네 개의 다리를 달아 팔자(八字) 모양으로 떠받치게 하고 빗살처럼 날이 촘촘한 쇠로 된 틀을 몸에 낀 형태로 되어 있다. 이 빗살처럼 촘촘한 쇠틀 사이로 벼를 끼우고 잡아당겨 벼 낱알을 턴다.

탈곡기는 벼·보리 등의 탈곡을 주목적으로 하는 기계이다. 탈곡기는 동력에 따라 인력식(人力式)과 동력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인력 탈곡기는 보통 족답 탈곡기라고 하는데, 발로 기계를 눌러 그 힘으로 돌리기 때문에 힘이 많이 드는 것이 단점이며, 탈곡 손실이 많고 선별장치가 없다. 급등에 거꾸로 된 브이 자 모양의 급치(扱齒)가 많이 꽂혀 있는데, 급치를 회전시키면서 벼이삭을 갖다 대어 벼 낱알을 떨어뜨린다.

풍구는 타작한 곡물에 섞여 있는 쭉정이나 검불·먼지 등을 날려 보내는 연장이다. 바람개비를 손이나 발로 돌려 통 속으로 흘러내리는 곡물에 섞인 이물질을 바람으로 날려 보낸다. 양쪽에 큰 바람구멍이 있고, 큰 북 모양의 통 내부에 넓은 깃이 여러 개 달린 바퀴를 장치하여, 이것을 돌려서 일으키는 바람의 힘으로 위에 올려, 장치한 깔때기 모양의 아가리로부터 흘러내리는 낟알과 티끌·쭉정이·왕겨 등의 잡물을 가려내는 장치이다.

키는 ‘치’라고도 하는데, 곡식에 섞인 검불이나 돌과 같은 잡물을 골라내는 연장이다. 앞은 넓고 편평하고 뒤는 좁다. 주로 대나무로 만들었으며, 각종 곡식을 담고 위아래로 까불면 알곡은 뒤로 가고 껍데기니 이물질은 치 앞으로 가서 구분이 된다.

[운반 도구]

운반 도구는 물건을 운반할 때 사용하는 도구를 말한다. 대표적인 것으로 지게, 바작, 거렁지 등을 들 수 있다.

지게는 우리 조상의 생활용품 중 독창성이 뛰어난 도구이다. 많은 생활 도구들이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거나 영향을 받았던 것에 비해 지게는 순수하게 우리 민족이 만들어 낸 도구이다. 지게로 쓰이는 나무는 보통 소나무가 사용되었으며 소나무 원목과 가지가 든든하고 똑같이 생긴 것으로 두 개를 합하여 등에 질 수 있게 만든다. 등태는 볏짚을 엮어 지게에 부착하여 사람 등에 닿게 한 부분으로, 지게에 있는 물건 때문에 등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해 주는 완충작용을 한다. 지게 멜빵은 볏짚 세 가닥을 떠꺼머리 땋듯이 두 개를 엮어 지게에 부착하여 사람의 좌우 어깨죽지에 멜 수 있게 한 끈을 말한다.

바작은 가는 신우대로 엮어 지게 가지에 달아 퇴비나 풀을 베어 얹어 운반하는 도구이다.

거렁지는 나무를 유(U) 자 모양으로 휘어 태를 두르고 볏짚으로 엮어 만든 그릇이다. 곡식을 옮길 때 거렁지에 담아 옮기고, 거렁지에 곡식을 보관하기도 한다. 잿거렁지는 한쪽이 바닥에 닿을 수 있게 터져 있다. 재나 퇴비를 담기 쉽게 하고, 논밭에 거름을 주기도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보관 도구]

보관 도구는 알곡이나 생선 등을 담아 보관하는 데에 사용되는 도구를 말한다. 대표적인 도구로는 소쿠리, 광주리, 가매 쪼박, 석작 등이 있다.

소쿠리는 대부분 대나무로 촘촘하게 짠 것으로 쌀이나 곡물을 일어서 담아 놓는 그릇이다. 이 중 밥소쿠리는 밥을 해서 담아 시렁에 얹어 놓을 수 잇도록 만든 것이다. 대나무의 성질이 차고 위아래로 공기가 통해 밥이 쉽게 쉬지 않는다. 보리쌀 소쿠리는 삶은 보리를 보관하는 소쿠리를 말한다. 쌀이 귀해 꽁보리밥이나 쌀과 함께 보리를 섞어 먹었던 시절, 보리는 미리 삶아 놓아야 밥을 할 때 잘 퍼진다. 삶은 보리를 시원하게 보관하고자 소쿠리에 담아 놓았는데, 이를 보리쌀 소쿠리라 한다. 보통 밥소쿠리와 보리살소쿠리는 동일한데, 보관하는 것이 밥인지 보리쌀인지에 따라 부르는 명칭이 달라진다.

가매 쪼박은 나무 속을 파고 손잡이를 만들어 곡물을 옮겨 담을 때 사용한다.

광주리는 대나무로 만든 큰 바구니를 말한다. 대나무 발이 크고 굵어 튼튼하다. 들에서 일을 할 때 밥과 찬을 담아 이고 가는 데에 주로 이용한다.

석작은 대나무로 만들며, 주로 이바지 떡을 담거나 생선류를 담는 그릇을 말한다.

[가루 내는 도구]

가루 내는 도구는 정분용구(精粉用具)라고도 하며 알곡의 껍질을 벗기거나 빻아 가루를 낼 때 사용하는 도구를 말한다. 대표적인 것은 도구통, 맷돌, 디딜방아 등이다.

도구통은 벼·보리를 방아에 찧거나, 떡을 칠 때 사용한다. 통나무 속을 파내고 그대로 쓰는 경우도 있고, 혹은 큰 돌을 둥글게 흠을 파내고 장구 모양으로 중간의 허리 부분을 잘록하게 들어가게 만든다. 도구대는 도구통에 곡식을 넣고 찧을 때 사용하는 것인데 나무로 만든다. 약 1m 정도 되며 중앙 부분은 손으로 쥘 수 있을 만큼 가늘게 한다. 한쪽 끝은 두껍고 끝을 편편하게 만들고 다른 한쪽 끝은 약간 가늘고 끝부분은 둥글게 만들어, 곡식의 껍데기를 벗길 때와 가루로 만들 때를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한 개의 절구통에 두세 사람이 맞공이질을 하기도 한다. 도구대는 주로 팽나무로 만들었는데 팽나무를 잘라 물에 몇 개월 담가 두었다가 깎아 만들면 나무가 단단해져 벌어짐이 없고 무게가 나가 곡물을 잘 찧을 수 있다. 소나무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소나무는 가벼워서 무게감이 없다.

맷돌은 곡물의 껍질을 벗기거나 가루를 만들 때 사용하는 도구다. 돌을 두께 10㎝, 지름 40㎝ 정도로 둥글게 두 개를 깎아 밑돌 중앙에 큰 쇠못을 세우고 윗돌 중앙에 쇠못구멍을 뚫는다. 윗돌 가 쪽에 곡물을 넣을 수 있는 구멍과 가장자리에 나무 손잡이를 끼울 수 있는 홈을 판다. 위아래 두 짝을 맞추어 놓고 윗돌 구멍에 곡물을 넣고 돌리면 곡물이 가루로 빻아진다.

디딜방아는 발로 밟아서 곡식을 찧거나 빻는 농기구이다. 곡식을 찧는 일 외에도 떡을 찧거나 고추를 빻는 등의 일에 요긴하게 쓰인다. 외다리방아와 양다리방아가 있는데, 양다리방아는 가지가 와이(Y) 자로 뻗은 길이 3m 남짓한 통나무를 깎아 밑동 쪽에는 공이를 박고 가지 부분은 다리[발판]로 했다. 다리가 합쳐져 방아 채가 시작되는 곳에서 조금 앞쪽에 채를 가로질러 쌀개[굴대]를 박고 이를 볼씨[받침대]에 얹었다. 사람이 방아다리를 밟고 오르면 사람의 몸무게로 공이가 위로 들리고, 발을 떼면 아래로 처박히면서 공이 밑의 방아확 속에 넣은 곡식을 찧는다. 방아를 밟는 사람이 일하기 쉽게 다리 앞에 손잡이를 두거나 천장에 끈을 매어 잡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