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백련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1881
한자 白蓮寺
영어음역 Baengnyeonsa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권순긍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출생 시기/일시 1862년연표보기
저자 사망 시기/일시 1930년연표보기
배경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명암리
성격 한시
작가 정운호

[정의]

근대 정운호(鄭雲灝)감악산에 있는 백련사의 경치와 작자의 심정을 노래한 칠언 율시의 한시.

[개설]

정운호[1862~1930]는 정양(鄭瀁)의 11세손으로, 의병장 정운경(鄭雲慶)의 삼종제이다. 향리의 이름 있는 한학자로 월림 정씨의 종손인 정운호는 금성 월림에서 가까운 백련사에 자주 들렀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그가 백련사를 소재로 많은 시를 쓴 데서도 알 수 있다. 정운호「백련사(白蓮寺)」 외에도 「금수약수탕(金水藥水湯)」이라는 작품을 써서 백련사의 샘물을 그리고 있다.

[구성]

수련에서는 백련사를 찾아가는 모습을, 함련에서는 백련사의 약수와 불공을 올리는 모습을 노래했다. 경련에서는 고요함 속에 탱화를 감상하는 여유를, 미련에서는 시를 읊으며 고찰을 감상하는 한가로움을 노래했다.

[내용]

만춘심사백운간(晩春尋寺白雲間)[늦은 봄 흰 구름 사이 절간 찾으니]

불조기지영객환(佛祖己知迎客還)[부처님 이미 아시어 객을 맞고 보내네]

천위생령류약수(天爲生灵流藥水)[하늘은 생령(生靈) 위해 약수(藥水) 흘리고]

지인노석착명산(地因老釋着名山)[땅은 부처로 인해 명산으로 앉았네]

습정유능치병구(習靜猶能治病久)[고요함을 익혀 오히려 병을 고치고]

입심무방간화한(入深無妨看畵閒)[심처(深處)에 들어가도 방해 없어 탱화 감상하네]

고사원공금복재(古寺遠公今復在)[고찰의 오랜 공 이제 다시 있게 하는데]

액명시음호개안(液明詩飮好開顔[밤을 밝혀 시 읊으며 좋게 얼굴을 폈네]

[특징]

각 연마다 ‘환(還)’, ‘산(山)’, ‘한(閒)’, ‘안(顔)’의 운자를 가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제천의 명산 감악산에 위치한 백련사의 경치뿐만 아니라, 백련사의 약수가 많은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고 있음을 밝히면서, 부처님의 공덕으로 이런 여러 혜택이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며 자연과 인간이 어우러진 모습을 그려 낸 점이 특이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