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
-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신현리 고산사 응진전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조 관음보살 좌상. 고산사는 덕산면 신현리 와룡산에 있는 법주사의 말사이다. 사찰에는 응진전, 칠성각, 요사채 등이 있는데, 고산사 응진전에 제천고산사 석조 관음보살 좌상이 주존불로 봉안되어 있다. 좌우에는 나한 6구를 배치하였다. 1998년 12월 31일 충청북도 유형 문화재 제194호로 지정...
-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신현리 고산사 응진전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조 나한상군. 제천 고산사 석조 나한상군은 고산사 응진전에 관음보살을 중심으로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조선 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돌로 조성되었다. 나한이란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 깨우침을 얻은 수행자의 단계 중 마지막 단계인 아라한을 일컫는 말이다. 이들은 6가지 신통력과 8가지 해탈법을...
-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하 덕주사 약사전에 있는 조선 시대의 약사여래 입상. 제천 덕주사 석조약사여래입상은 원래 한수면 역리 덕상골의 전 정금사지에 있던 불상으로 1998년 12월 31일 충청북도 유형 문화재 196호로 지정되었다. 충주댐 건설로 이 지역이 수몰되면서 1983년 4월에 한수면 송계리 하덕주사로 이전되었다. 전체 높이는 230㎝ 정도이며,...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명암리 명암리 사지에 있는 고려 전기의 석조 여래입상. 명암리 사지 석조 여래 입상은 점판암 계열의 상으로, 불신과 대좌가 원각상으로 조성되었다. 비교적 장신의 상으로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을 취하고 있다.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고, 단지 무릎 부분의 경우 두 조각으로 파손된 것을 이어 놓은 상태이다. 현재 명암리 사지 석조...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옥전리 송화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조 나한상. 제천 송화사는 원래 봉양읍 팔송리에 있던 구(舊) 송화사가 옮겨와 새로 창건된 불입종단의 사찰이다. 불입종은 대각국사 의천의 법맥을 잇는 종파로 근대에 성립되었으며, 합장인의 수인을 하는 5여래를 주존으로 모신다. 경내에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왼쪽으로 성보전이 있고, 오른쪽으로 범종루와 요사...
-
충청북도 제천시 남천동 원각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 관음보살 좌상. 원각사는 제천시 남천동 수도산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태고종 사찰로 창건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경내에는 고식의 석탑이 1기 있었다고 조사된 적이 있어 사찰의 역사가 오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지금은 남아 있지 않아 사실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현재 원각사에는 대웅전, 관음...
-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시곡리 강천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과 복장 유물. 제천 강천사 목조 보살 좌상은 밑바닥에는 복장공(腹藏孔)이 있고, 그 속에서 건륭 원년(乾隆元年)[조선 영조 12년, 1736]의 조성 원문과 후령통(候鈴筒) 1점, 다라니 10점을 비롯하여 『연화경(蓮花經)』, 『금강경(金剛經)』, 『지장보살 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무량수 진언집...
-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평동리 경은사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 문수보살 좌상과 복장 유물. 경은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봉선사의 말사이다. 제천 경은사 목조 문수보살 좌상은 현재 요사채에 보관 중이다. 제천 경은사 목조 문수보살 좌상을 봉안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문수전을 신축하고 있다. 제천 경은사 목조 문수보살 좌상은 30㎝ 정도의 목조 보살상으로...
-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상 덕주사에 있는 고려 전기 마애불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에 있는 덕주사는 월악산 남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덕주사는 암자가 두 곳에 분리되어 있어 상 덕주사, 하 덕주사로 불린다.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이 있는 상 덕주사는 6·25 전쟁 때 불타고 지금은 제천 덕주사 마애 여래 입상 앞의 법당 터만 확인할 수 있다. 월악산...
-
충청북도 제천시 두학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조 여래 입상. 제천 두학동 석조 여래 입상은 파손된 채로 방치되어 있던 것을 보수한 것으로, 현재는 보호각 안에 세워져 있다. 석불 입상의 주변 지역에서 기와편이 다수 수습되는 것으로 보아서 이 일대가 절터였음을 알 수 있다. 제천 두학동 석조 여래 입상은 2004년 10년 22일 충청북도 유형 문화재 제244호로...
-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성내리 무암사 극락보전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무암사 극락보전은 무암사의 주불전으로 3단으로 이루어진 높은 석축 위에 세워진 정면 3칸, 측면 3칸의 목조 건물이다. 지붕에 올려진 망와(望瓦) 중에 ‘건륭오년연□편수승□준계침김초관□방(建隆五年蓮□片壽僧□俊戒沈金肖官□方)’이라는 명문이 발견되어, 1740년(영조 5)에 무...
-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청풍문화재단지 내에 있는 고려 전기의 석조 여래 입상. 제천 물태리 석조 여래 입상은 원래 파강[청풍강] 변 대광사(大光寺) 입구에 서 있던 상으로 1971년 보물 제546호로 지정되었으며, 충주댐 건설로 수몰되게 되자 1985년 청풍문화재단지 내로 이전된 것이다. 제천 물태리 석조 여래 입상은 기다란 불신이 경직되어 보이지만,...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명암리 백련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아미타여래 좌상. 백련사는 감악산 정상에 위치한 사찰로 경내에는 대웅전과 삼성각, 요사채와 현대에 새로 조성한 오층석탑, 석등 2기, 보제문 등이 있다. 제천 백련사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은 대웅전에서 근래 조성한 양협시보살상과 함께 삼존불의 형태로 봉안되어 있다. 최근 개금 때 제천 백련사 목조...
-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시곡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조 여래 입상. 제천시 송학면 시곡리 깊은골마을 앞 경작지 옆에 서 있는 불상으로, 2004년 3월 12일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41호로 지정되었다. 대좌와 광배를 모두 갖추고 있으나 부분적으로 파손과 마멸이 심하여 세부 표현을 정확히 알아볼 수 없는 상태이다. 제천 시곡리 석조 여래 입상이 서 있는 곳은 원...
-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능강리 정방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의 목조 관음보살 좌상과 복장 유물. 정방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법주사의 말사로 고려 시대에 창건되어 현재까지 법등을 이어오고 있다. 정방사는 조선 시대에 작은 규모의 암자로서 세 곳에 있었으나, 지금은 한 곳만 남아 법맥을 이어오고 있다. 정방사의 법당에는 목조관음보살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개금불사(改金佛事...
-
충청북도 제천시 남천동 한산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조 여래 입상. 한산사는 제천시 수도산 정상부에 위치한 조계종 사찰로 1924년 김창주가 창건하였다. 경내에는 현대적으로 지은 2층의 대웅전과 요사채가 있다. 제천 한산사 석조 여래 입상은 한산사 대웅전 동쪽에 세워져 있는데, 원래는 충청북도 제천교육지원청이 자리한 마을에 있었던 불상으로 현 위치로 옮겨진 경...
서화류
-
충청북도 제천시 신동 문암 영당에 있는 조선 후기 권섭이 꾸민 서화첩. 「공회첩」은 조선 후기 관료 권영(權瑩)[1678~1745)의 편지와 사대부 화가 정선(鄭歚)[1676~1759]의 산수화 2점, 권영의 형인 옥소(玉所) 권섭(權燮)[1671~1759]이 쓴 발문으로 구성된 서화첩이다. 권섭은 노론계 명문가 출신이지만 일찍이 관직을 단념하고 탐승과 문필...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제천 의병 전시관에 있는 조선 후기 성리학자 권상하의 초상. 권상하(權尙夏)[1641~1721]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송시열(宋時烈)[1607~1689]의 수제자로 기호학파(畿湖學派)의 계승자이다. 숙종(肅宗)이 좌의정에 임명하였으나 사양하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권상하 초상(權尙夏肖像)」의 오른편에 적혀 있듯이 숙종 대에...
-
충청북도 제천시 신동 문암 영당에 있는 조선 후기 성리학자 권섭의 초상. 권섭(權燮)[1671~17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권상하(權尙夏)[1641~1721)의 조카로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여행을 즐겼으며 글을 많이 지었다. 저서로 『옥소집(玉所集)』이 있다. 「권섭 초상」에 적힌 바에 따르면 1734년(영조 10) 권섭의...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제천 의병 전시관에 있는 조선 후기 문인 권욱의 반신 초상화. 권욱(權煜)[1658~1717]의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자는 유회(幼晦), 호는 초당(草堂)이다. 아버지는 문순공 권상하(權尙夏)이다. 1681년(숙종 7) 22세에 진사가 되었고, 1713년(숙종 39) 상의원 별제, 1714년 돈령부 판관을 거쳐 단양 군수로 부...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제천 의병 전시관에 있는 조선 후기 성리학자 송시열의 초상. 송시열(宋時烈)[1607~1689]은 과거 시험에서 장원으로 합격한 뒤 학문으로 이름을 널리 떨쳤고, 나중에 효종(孝宗)이 되는 봉림 대군(鳳林大君)의 스승이 되었다. 효종의 두터운 신뢰를 얻어 청나라를 물리치려는 북벌 계획을 세웠지만 서인(西人)의 지도자로서 계속되는...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제천 의병 전시관에 있는 조선 후기 성리학자 윤봉구의 초상. 윤봉구(尹鳳九)[1681~1767]의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권상하(權尙夏)[1641~1721]의 문인으로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통을 이었다.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인성과 물성이 다르다고 주장한 호론(湖論)에 속하였다. 「윤봉구 초상」은 1726년(영조 2) 건립된...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제천 의병 전시관에 있는 조선 후기 성리학자 한원진의 초상. 한원진(韓元震)[1682~1751]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권상하(權尙夏)[ 1641~1721]의 제자로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통을 이었다.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인성과 물성이 다르다고 주장한 호론(湖論)의 대표적 인물로 노론의 의리를 강경하게 고수하였다. 한원진...
기타
-
충청북도 제천시 남천동에서 발견된 고려 후기의 범종. 1966년에 제천에서 발견되어 백부영이 소장하다가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동종이다. 중형에 가까운 큰 종으로 전형적인 고려 시대의 청동 범종이다. 을사명 동종은 높이에 비하여 풍만한 종신(鍾身)을 지니고 있는데, 용통과 용뉴, 유곽 등 전형적인 한국 범종의 형태를 잘 갖추고 있다. 용정(甬頂)에 5개의 구슬...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칠현금. 성재 유중교(柳重敎)[1821~1893]가 연주하던 칠현(七絃)의 거문고이다. 유중교의 후손인 유성균이 소장하고 있던 것을 기증받아 제천의병전시관에서 전시, 관리하고 있으며, 1800년대 중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중교의 본관은 고흥(高興)으로 자는 치정(致政), 호는 성재(省齋)이다. 5세 때...
-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평동리 경은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석조 불감(佛龕). 경은사는 고려 후기 이전에 창사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사찰로 탄명선사(坦明禪師)가 수행했던 곳으로 구전되며 본래 도덕암(道德庵), 혹은 백운암(白雲庵)이라고 불렸다. 빈터로 전해오던 곳에 작은 흙집을 마련하여 명맥을 이어오다, 1939년 화재로 전소되었으나, 1942년 인법당(因法堂)...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민명혁의 부인 청송 심씨 출토 복식 및 습의. 청송 심씨(靑松沈氏)[1753~1810]는 민명혁(閔命爀)의 부인이다. 정부인(貞夫人)으로 추서 받았다. 청송 심씨 묘 출토 복식은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원월리 산39-3번지 여흥 민씨(驪興閔氏) 종가 분묘의 개장 및 이장 과정에서 출토되었다. 2014년 3월 7일 충청북도 유형 문...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의암 고택에 있는 조선 후기 목판. 『화서 선생 아언(華西先生雅言)』은 유교 수양서이다. 조선 후기 주리 철학 3대가 중 한 명인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1792~1868]가 말년에 병으로 강학을 할 수 없게 되자, 중암(重庵) 김평묵(金平黙)[1819~1891]과 성재(省齋) 유중교(柳重敎)[1832~1893] 등이 후학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