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화투뒤풀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1462
한자 花鬪-
이칭/별칭 「화투 타령」,「화투 노래」,「화투푸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초평면 금곡리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창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토속민요|유희요
형성시기 개항기
기능구분 유희요
형식구분 독창|장절 형식
가창자/시연자 현병욱[광혜원면 실원리]|윤대근[초평면 금곡리]

[정의]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초평면 금곡리에서 화투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

[개설]

「화투뒤풀이」광혜원면 실원리초평면 금곡리에서 채집된 노래로서, 12종류의 그림으로 이루어진 화투 그림을 1년 열두 달에 비유하고 월별에 따라 해학적으로 풀이한 달거리식[月令體]의 토속민요이다. 이를 「화투 타령(花鬪打令)」, 「화투 노래」, 「화투푸리」라고도 한다. 「화투뒤풀이」는 개인 창의 음영민요(吟詠民謠)이고, 대부분 창부타령조의 굿거리장단으로 되어 있으며, 사설은 어희적(語戱的)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화투가 일본에서 수입된 점으로 미루어 보아 근대에 생성되어 일제강점기 때부터 많이 불린 것으로 보인다.

[채록/수집상황]

1992년 10월 30일 충청북도 진천군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광혜원면 실원리의 주민 현병욱[남, 75]과 초평면 금곡리 수문마을의 주민 윤대근[남, 미상]이 부르는 노래를 채록하였다.

[구성 및 형식]

대부분 독창으로 노래하며, 장절 형식을 가지고 있다.

[내용]

1. 현병욱의 사설

정월이라 속속들이 사린정을/ 이월메조에 맺어놓고/ 삼월사구라 산란한마음/ 사월흑파리 흩어진다/ 오월난초 모든나비/ 유월목단에 춤을추네/ 칠월홍돼지 걸어놓고/ 팔월팔공단 유람을 갈까/ 구시월 시단중에 낙엽만 날려도 님의생각/ 동지섣달 긴긴밤에 님의생각이 절로나네/ 시들새들 봄배추는 찬이슬 오기만 기다리고/ 옥에갇힌 춘향이는 이도령 오기만 기다린다.

2. 윤대근의 사설

정월 석같이 서걱한 마음/ 이월 매조에 다 떨어진다/ 삼월 사구라 산란한 마음/ 사월 흑싸리에 흩어지고/ 오월 난초 나비/ 유월 목단에 춤을 춘다/ 칠월 홍다지 홀로 누워/ 팔월 공산을 구경하니/ 구월 국화 굳었던 마음/ 시월 단풍에 다 떨어진다/ 얼씨구 좋다 지화자 좋다/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화투(花鬪)는 12종류 48장으로 되어 있는 놀이용 딱지로서 추석과 설날의 명절이나 상갓집 등에서 주로 행해지는 오락 도구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수투(數鬪)[몇 사람이 편을 지어 숫자풀이를 하며 노는 놀이, 또는 투전]·마작(麻雀) 등의 노름 도구가 도박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다가 개화기에 일본의 카드인 하나후다[花札, hanafuda]가 우리나라에 전해져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화투에는 12가지 그림이 있으며, 1월부터 12월까지 각 월에 해당하는 그림이 4장씩 짝을 이루고 있다.

[의의와 평가]

화투는 개항기에 일본에서 유입된 성인의 놀이문화이며, 「화투뒤풀이」는 가무를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정서와 결합된 화투 주제의 노래이다. 진천 지역에서도 화투와 우리나라 전통적 노래 형식인 월령체가 결합하여 「화투뒤풀이」라는 토속민요를 만들어 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