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801250
한자 海月先生文集 木板
영어의미역 Woodblocks of the Literary Collection of Master Haewol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정명리 98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갑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집 목판
제작시기/일시 1776년(영조 52)연표보기
제작지역 명계서원(明溪書院)
재질 목재
높이 19.4㎝
길이 43.7㎝
소장처 평해황씨 해월종택
소장처 주소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정명리 989 지도보기

[정의]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정명리 평해황씨 해월종택에 소장되어 있는 해월 황여일의 문집 목판.

[개설]

해월 황여일(黃汝一)[1556~1622]의 문집 『해월선생문집(海月先生文集)』은 1776년(영조 52) 후손 황상하(黃尙夏)와 이형복(李亨福) 등에 의해 명계서원(明溪書院)에서 제작되었다. 권두에 이상정(李象靖)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양사언(楊士彦)의 발문이 있다.

[형태]

『해월선생문집』 목판은 크기가 세로 19.4㎝ 가로 43.7㎝이며, 수량은 총 164개이다.

[특징]

『해월선생문집』 목판은 총 7책 1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권~제4권은 시(詩), 제5권은 부(賦)·대책(對策)·논(論), 제6권은 서(書), 제7권은 소(疎)·장계(狀啓)·교서(敎書)·전(箋)·표(表)·송(頌)·기(記)·서(序)·발(跋), 제8권은 잡저(雜著)·제문(祭文), 제9권은 은사시(銀槎詩), 제10권~제12권은 은사일록(銀槎日錄), 제13권은 전(傳)·묘지(墓誌)·행장(行狀), 제14권은 부록(附錄)이 실려 있다.

목판의 내용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서(書)·기(記)·서(序)·발(拔)이 주종을 이루는 일반적인 것과 달리 정무에 관련된 저작이 다수를 차지하다. 그 중 제9권 「은사시」는 태조 이성계가 고려 권신 이인임의 아들이라고 잘못 기록한 명의 『태조실록(太祖實錄)』과 『대명회전(大明會典)』을 수정해줄 것을 요청하는 이른바 '종계변무(宗系辨誣)'를 위해 이항복(李恒福)·이정구(李廷龜) 등을 따라 서장관(書狀官)으로 갔을 때 왕복 7개월 동안 그들과 주고받은 100여 수의 시들로서 연도의 풍경과 중국 물색 등을 읊고 있다.

또 제10권에서 제12권까지의 「은사일록」은 여행 중에 겪은 일을 적은 일기로서 명 황제에게 보낸 정응태(丁應泰) 등의 무함(誣陷)을 논변한 주문(奏文), 사행이 직접 전한 정문(呈文), 그곳의 답문(答文), 그곳의 관리들이 취한 태도나 표정까지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