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0444
한자 吳希文瑣尾錄
영어음역 Swaemirok
영어의미역 Diary of O Huimun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1년 9월 30일연표보기 - 오희문 쇄미록 보물 제109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오희문 쇄미록 보물 재지정
성격 일기집
관련인물 오희문(呉希文)[1539~1613]
저자 오희문(呉希文)[1539~1613]
저술연도/일시 1591년(선조 24) 11월~1601년(선조 34) 2월연표보기
권수 불분권
책수 7책
사용활자 필사본
표제 瑣尾録
간행처 해주오씨 문중
소장처 해주오씨 문중
소장처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리 98-1[오산로61번길 29]지도보기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경기도 용인시의 해주오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중기 오희문의 일기집.

[개설]

오희문 쇄미록은 조선 중기에 선공감 감역을 지낸 비연(斐然) 오희문(吳希文)[1539~1613]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여러 곳으로 피난하며 10여 년간 쓴 일기이다. 1991년 9월 30일에 보물 제109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오희문이 난리 중에도 이와 같은 글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당시 관직에 있지는 않았으나 처남인 장수현감 이윤(李贇)을 비롯하여 부여현감 박동도(朴東燾)·정산현감 김장생(金長生)·홍주목사 이총(李摠)·함열현감 신응구(申應榘)·한산군수 신경행(辛景行)·장성현감 이귀(李貴)·충청어사 조희보(趙希輔)·목천현감 조형연·연기현감 임태 등 친인척과 친구들에게 전황을 상세하게 들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특히 조보 및 각종 공문서와 의병들의 격문까지 입수하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은 아들 오윤겸이 세자익위사의 시직으로 동궁을 측근에서 시위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편찬/발간경위]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직전인 1591년(선조 24) 11월부터 1601년(선조 34) 2월까지 10여 년간 쓴 일기이다. ‘쇄미록’의 뜻은 『시전(詩傳)』북풍(北風) 모구장(旄丘章)에 있는 “쇄혜미혜 유리지자(瑣兮尾兮 流離之子)”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으로, 피난에 대한 기록이란 의미이다. 일기의 끝에 “이제 종이도 다하고, 또 서울에 다시 돌아와 유리(流離)할 때도 아니므로 붓을 그친다.”고 서술하여, 이 글의 목적이 피난 중의 일을 기록하는 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구성/내용]

불분권 7책이며, 필사본이다. 표제는 쇄미록(瑣尾録)이다. 총 7책으로 제1책 『임진남행일기(壬辰南行日記)』·『임진일록(壬辰日錄)』, 제2책 『계사일록(癸巳日錄)』, 제3책 『갑오일록(甲午日錄)』, 제4책 『을미(乙未)·병신(丙申)·정유일록(丁酉日錄)』, 제5책 『정유일록』, 제6책 『정유·무술일록(戊戌日錄)』, 제7책 『기해(己亥)·경자(庚子)·신축일록(辛丑日錄)』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방에 있는 친척과 노비를 찾아보기 위해 1591년 11월 27일 서울을 떠나 충청도·전라도를 여행하다가 이듬해 4월 장수현에서 왜란을 만나 3개월 동안 영취산(靈鷲山)의 깊은 산중으로 들어가 피난하기도 하면서, 그해 겨울 강원도로 피난했던 가족을 만나 홍주·임천·평강 등지로 전전한 내용 등이 담겨 있다.

전라감사 이광(李洸)의 용인 전투에서의 패배, 명나라 군사의 지원과 화의 진행 과정, 화의의 결렬과 왜군의 재침 등 전란의 진행 과정과 왜군의 만행 및 명나라 군사들의 약탈 행위, 곽재우·고경명 등 의병의 활약상, 황폐화된 한양의 모습 등 다른 자료에서 찾아볼 수 없는 사실들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각 책의 말미에는 국왕과 세자의 교서, 의병의 격문, 명장(明將)의 성명문, 각종 공문서, 과거방목, 잡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오희문 쇄미록은 개인의 사적인 일을 기록한 일기이긴 하지만,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전후한 10여 년간의 피난 경험과 직접 보고 들은 전황 등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또 전란과 관련한 기록 외에도 양반의 특권과 노비제도, 각지의 산물과 풍속 등에 대한 자료가 많아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의 사회생활상과 신분제도 등을 살펴보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5.09 행정지명 현행화 모현면에서 모현읍으로 변경 사실 반영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