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0043
한자 食生活
영어음역 Siksaenghwal
영어의미역 Dietary Customs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연순

[정의]

충청북도 제천 지역에서 행해지는 식품과 음식에 관련된 모든 활동.

[개설]

식생활은 제천 지역 사람이 식재료를 조리하여 식품으로 만들어 먹는 먹을거리와 이를 둘러싼 독특한 생활과 풍습을 말한다. 좁은 의미의 식생활은 즐겨 먹는 음식의 종류와 조리법을 말하나, 넓은 의미로는 식품의 종류, 조리하는 방법, 조리 기구, 음식, 식사 예절 등 음식을 먹기 위한 모든 행동이 포함된다. 식생활은 자연 환경만이 아니라, 역사를 비롯한 사회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제천 지역의 식생활 역시 내륙 산간 지역이라는 자연 환경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이로 인해 화전을 일구며 살았던 사람들의 식생활의 모습도 살필 수 있다. 제천 지방의 식생활은 산간 고지대라는 지형적인 특색으로 쌀보다는 잡곡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서류, 두류의 품질이 우수하여 이에 따른 음식의 발전을 가져왔다. 또한 식재료 중의 하나인 수산물로는 소금에 절인 고등어 종류가 식탁에 올랐고 건조된 미역, 다시마, 김을 많이 먹었다. 이는 제천 지역이 바다와 멀어 생선이 귀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제천은 내륙 고지대인 까닭에 겨울철에는 기름기가 많고 매운 음식을 먹어서 열을 내는 식습관이 있다. 그리고 겨울이 긴 편이어서 저장 식품으로 김장을 많이 하는 편이다.

더불어 대체적으로 조악한 토질로 생산성이 다소 떨어진 농산물을 식재료로 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갖은 정성을 들여 맛깔 나는 음식을 만들어 내게 하였다. 제천의 음식을 맛본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맛에 대해서는 높은 평가를 내린다.

[주식·부식]

내륙 산간 지방인 제천의 주된 식재료는 쌀, 보리의 주식과 함께 부식으로 채소와 버섯, 종실류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였다. 논의 경작지가 많지 않은 까닭에 7월이 되면 다량의 보리 수확을 하고, 수확을 감사하며 마을의 동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보리 수확을 마치면 보리술을 담아 벼농사의 수확을 앞둔 시기에 마을 잔치를 하는 동네가 많았다. 반면 산간 지방에서 화전을 일구며 살아온 화전민은 조, 콩, 옥수수, 메밀 등을 주로 재배하여 이것들을 주식으로 삼기도 하였다.

부식 재료로는 산간 지역에서 채취할 수 있는 나물, 버섯, 종실류가 대다수를 이루고 있으며,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채소들도 일정량을 차지하였다. 배추의 재배는 전국적인 현상이었지만 제천 지역의 배추는 고랭지에서 재배되어 질이 좋았다. 그래서 배추를 이용해 담은 김치와 같은 채소류의 전통적인 조리 방법은 비교적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편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부식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겨 왔다.

[대표 음식]

국토의 중앙에 위치한 제천은 내륙 지방의 음식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 산악 지대이기 때문에 산채 나물을 이용한 음식들이 발달되어 있다. 산지인 제천의 북쪽 지역에서는 메밀을 원료로 하는 메밀부침·메밀국수·막국수, 도토리를 원료로 하는 묵밥·채 묵·도토리 칼국수, 콩을 원료로 하는 콩나물·두부·콩국수 등이 주요 먹을거리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남한강의 줄기가 지나고 있는 제천의 남쪽 지역에서는 민물고기를 원료로 하는 매운탕과 비빔 회, 올갱이 해장국 등이 유명하다.

[한방 음식]

최근 현대화된 농업 기술의 향상과 핵가족 중심의 가족 형태, 여성의 사회적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간편한 식생활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맞춰 식생활에서도 간편하고 영양적으로도 풍부한 다양한 조리법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제천 지역에서는 한방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방 음식의 개발로 다양한 음식들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2010 제천 국제 한방 바이오 엑스포 개최를 계기로 한방 음식의 대중화·상품화를 통한 향토 음식으로의 정착을 위하여 많은 한방 음식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