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삼국 시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0460
한자 三國時代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김정희

[정의]

고구려·백제·신라가 정립했던 시대의 제천 지역의 역사

[개설]

고구려·백제·신라의 세 나라가 정립했던 시기부터 고구려 멸망(668년)까지의 시기에 제천 지역은 삼국의 접경지로 남한강을 둘러싼 영토 쟁탈의 중요한 전장이었음을 알 수 있다.

직접적인 자료는 없지만 남한강 강변에 분포하고 있는 돌무지무덤 등을 통해 볼 때, 삼국 중 제천 지역에 가장 먼저 진출한 것은 백제로 추측되고 있다. 그 이후에 고구려가 광개토왕(391~412)과 장수왕(413~491) 때 이르러 대대적인 남하정책을 추진하면서 충주를 비롯한 남한강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확보하였다. 이 때 제천 지역도 고구려의 영향력 아래에 들어가게 되었다. 『삼국사기』 지리지의 내용에 따르면 고구려는 지금의 충주·단양·제천·진천·음성·괴산을 영유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제천 지역에는 내토군(奈吐郡)이 설치되었다.

6세기 중반에 이르러서 제천 지역은 신라의 영토에 속하게 되었다. 551년을 전후한 시기에 신라는 죽령로를 통해 북진을 계속하여 고구려 영역이었던 남한강 유역을 점령해 나갔다. 신라의 북진로에 대해서는 「단양적성비」를 통해 알 수 있는데, 제천 지역은 그 경로 상의 요지 중 하나였다. 즉, 단양을 지나 제천을 거친 후 남한강을 따라 충주까지 진출하고, 계속 북상하여 원주와 춘천에 이르고, 동쪽으로는 남한강을 거슬러 올라가 영월·정선을 확보하여 남한강 일대를 완전히 점령하였다.

한편 제천이 위치한 소백산맥은 신라에게 고구려·백제 세력을 저지하기 위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특히 고구려 세력이 장수왕대에 경상북도 풍기·봉화·청송·평해 지역까지 남하하여 위협한 사건을 경험한 신라로서는 이 지역에 대한 방어는 국가의 운명과 직결된 문제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제천 지역을 비롯한 소백산 지역을 확보한 이후 이곳을 방어선으로 구축하는 것은 신라에 매우 중요한 과업이었다.

[유적현황]

제천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편리한 수운 교통과 산악 지역으로서 전략상 요지로 여러 시기에 걸쳐 다양한 계통의 문화가 유입되었다. 삼국 시대에 이르러서는 소백산맥을 분수령으로 하여 영동과 영남 지방을 연결하는 통로로서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주요 쟁탈 지역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제천 지역에 남아 있는 대표적인 유적은 산성을 비롯한 관방 유적이 주를 이루고 있다. 도화리 유적, 왕암 유적 등이 있으며 관방유적이 주를 이루고 있다. 명암리 감암산성·삼거리 제비랑산성·동막리 성산성·성내리 청풍산성 등이 있으며, 청풍면에서도 5개의 성이 위치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