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300607 |
---|---|
한자 | 堤川校里方壇積石遺構 |
영어음역 | Jecheon Gyori Bangdan Seokjomul |
영어의미역 | Square Stacked Stone Platform Works in Gyo-ri, Jecheo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교리 산16 |
시대 | 고려/고려 전기 |
집필자 | 장준식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0년 12월 22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제천 교리 방단적석유구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현 소재지 |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교리 산16
![]() |
성격 | 모전 석탑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제천시 |
문화재 지정번호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교리에 있는 고려 전기 모전 석탑.
제천시 청풍면 금수산(錦水山) 자락 산 중턱에 교리 사지(校里寺址)가 있다. 제천 교리 방단적석유구은 교리 사지에서 서남쪽 약 50m 지점의 암반 위에 화강암재로 조성된 석탑 형태의 석조물이다. 1960년대 학계에 모전 석탑으로 알려져 희소성과 중요성은 인정되어 왔으나 본격적인 학술 조사가 진행되지 못한 채 원형이 크게 훼손되어 방치된 상태이다. 현재 파손이 심해 전체적인 형태를 파악할 수 없지만 탑신의 체감율을 고려할 때 본래 탑신부는 5층 이상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2000년 12월 22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0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고려 전기에 건립된 모전 석탑으로 판단되지만, 정확한 건립 경위는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이 탑에서 약 50m 떨어진 교리 사지에서 고려 시대의 어골문, 격자문, 파상문 기와 등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방단 석조물과 교리 사지 사이에 연관성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천시 청풍면 교리에서 남쪽 계곡을 따라가다가 산 중턱의 절골에 이르면 큰 바위가 있는데 이곳이 교리 사지이며, 교리 사지로부터 약 50m 가량 떨어진 곳에 탑이 있다. 탑의 남쪽으로 절벽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형으로 인하여 석재가 절벽 아래로 상당수 유실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기단부와 1층부 일부만 남아 있다. 몸돌은 큼직한 암반 위에 화강암으로 조성되었으며, 길이 30~40㎝, 두께 5~15㎝ 정도의 벽돌 모양으로 다듬었다. 기단부는 한 변의 길이가 4m로 정사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높이는 약 1m이다. 1층 탑신부는 107㎝ 높이의 층을 이루고 있으며, 그 위에도 한 변의 길이가 211㎝ 정도 되는 옥개 부분의 잔형이 남아 있다.
탑의 북동쪽은 붕괴되었으나 서쪽 면은 일부가 남아 있다. 내부가 심하게 파헤쳐져 중심부는 암반이 보일 정도로 도굴되었고, 주변에 무너진 석재가 다수 흩어져 있어 절벽 아래로 상당수 유실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제 모습을 잃었지만 제천시 청풍면 학현리에 거주하던 김남훈[1982년 당시 70세]에 의하면 자신이 15세 되던 해에 노루를 잡으려고 그의 부친과 함께 탑골에 간 일이 있었는데, 그때에는 5층까지 완전하게 남아 있었으며, 모퉁이에는 풍경까지 달려 있었다고 한다.
현재 지정 명칭은 제천 교리 방단석조물로 되어 있으나 본래 5층의 석탑이었다는 전언과 주변에 위치한 절터, 그리고 탑골이라는 지명 등을 고려하면, 방단의 구조물로 볼 때 모전 석탑의 잔형을 보이고 있어 제천 장락동 칠층 모전 석탑과 궤를 같이하는 모전 석탑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