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물태리 동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1633
한자 勿台里洞祭
영어음역 Multae-ri Dongje
영어의미역 Multae-ri Village Ritual
이칭/별칭 물태리 서낭제,물태리 산신제,물태리 숫거리제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지도보기
성격 마을 신앙|산신제|서낭제|숫거리제
의례 시기/일시 음력 1월 15일 전후
신당/신체 당집|솟대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개설]

물태리 동제는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물태리 동제는 산신제, 서낭제, 숫거리제 순으로 진행된다. 동제의 신격과 제장에 따라 마을 뒷산의 산신제와 마을 앞의 서낭제와 숫거리제로 나뉜다.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주민들이 합심하여 동제를 올리면서 한 해 동안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한다.

[연원 및 변천]

물태리 동제는 마을 뒷산인 비봉산 정상에서 산신제와 마을 앞에서 서낭제와 숫거리제를 지낸다. 산신제는 마을 전체를 수호하고 관장하는 신격이고, 서낭제와 숫거리제는 마을 안과 동구에 위치하여 마을 밖으로부터 침입하는 질병과 재액을 방어하고 수호하는 신격이다.

물태리 동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이 형성되고 농업이 정착되면서 마을 주민들의 안녕과 풍요의 염원을 담은 공동 신앙 제의로 정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마을 주민 수가 줄고, 시대가 변하면서 민간 신앙에 대한 신성성이 희박해지고, 농경 문화의 근간이 약화되면서 민간 신앙인 동제는 약식으로 축소되었다. 1970년 정부 차원의 민간 신앙의 억제 정책이 시행되면서 그 신성성은 상실되었다. 물태리 마을의 동제도 이 시점으로 약화되어 현재는 중단된 상태이다.

[신당/신체의 형태]

물태리 마을에서 동제를 올리던 신당은 세 곳이다. 마을 뒷산인 비봉산 정상에 위치한 산제당과 마을 앞과 마을 안에 자리한 서낭과 숫거리제당이다. 비봉산 정상의 산제당은 당집과 수목이 어우러진 복합형 제장이고, 서낭제와 숫거리제는 마을 어귀에 솟대와 수구막이로 신체를 삼은 자연형 제장이다. 수구막이는 풍수지리에서 자연 형세를 바꿔 형국을 비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대개 마을 앞에 숲을 조성하거나 돌탑을 쌓거나 장승을 만들어 세우는 형태이다. 수구막이는 주로 산간 지방에 많이 분포한다.

[절차]

물태리 동제는 설날 이후에 주민들이 모여 생기복덕을 가려 제주를 선출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마을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제주인 제관, 유사, 공양주를 선출하면, 이들은 외부 출입을 금하고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하는 금기를 지키며 동제를 올리기 위한 정성을 시작한다. 제의 준비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제주 선출과 함께 제주와 제장에는 액을 막기 위한 금줄을 친다. 왼새끼로 꼬아 준비한 금줄은 제관 집과 산제당에 일주일 전부터 쳐 놓아 일반 사람들의 접근을 금한다. 금줄과 동시에 제장에 황토를 뿌려 부정을 씻고, 출입을 삼가며 준비한다.

제수 마련 등의 동제의 기금은 마을 기금과 집집마다 방문하여 추렴한 곡식을 모아 마련했다. 제수는 주로 제천장이나 성내장에서 구입했다. 세 곳의 제장에 올리는 공통된 제수는 메, 술, 삼색실과 등이었다. 신격에 따라 달리 올리는 제수는 희생공희(犧牲供犧)인 돼지였다. 산신제에는 돼지머리를 올리고, 서낭제에는 돼지 족발을, 숫거리제에서는 돼지의 남은 부위를 제물로 차려 올려 희생물의 차별을 두었다.

제의 차례는 여타 마을과 대동소이하게 약식화된 유교식 절차로 진행되었다. 동제를 올리는 제의 순서는 비봉산 산신제를 먼저 올린 후, 마을로 돌아와 숫거리제와 서낭제를 올려 마무리했다. 동제가 끝나면 주민들이 모여 음복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