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302701 |
---|---|
한자 | 王山面 |
영어공식명칭 | Wangsan-myeon |
영어음역 | Wangsan-m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상균,증보:김정현 |
[정의]
강원도 강릉시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고려 우왕(禑王)이 왕산면 왕산촌[현 왕산리]에 유배되어 갇혀 있었다 하여 ‘제왕산(帝王山)’이라는 이름이 생겼으며, 후에 ‘왕산’이 되었다.
[형성 및 변천]
원래 왕산면은 강릉군 구정면 지역으로 1914년 면 폐합에 따라 늘목재와 새재를 중심으로 상, 하 2개면으로 나눠 위쪽을 상구정면이라 하여 도마, 목계, 송현, 고단, 대기, 남곡, 구절리를 관할했다. 1917년 10월 1일 상구정면 지역은 제왕산의 이름을 따 왕산으로 개칭되었다. 1916년 군내면은 강릉면으로 개칭되었고, 1931년 강릉면이 강릉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55년 9월 1일에는 다시 강릉읍이 경포면과 성덕면을 통합하여 강릉시로 승격되었다. 나머지 강릉군 지역은 명주군으로 개칭되었고 왕산면은 명주군에 소속되었다.
왕산면은 1955년 명주군 소속으로 도마리, 목계리, 왕산리, 송현리, 고단리, 대기리, 남곡리, 구절리를 관할하고 있다가 1973년 7월 구절리와 남곡리가 정선군 북면으로 편입되었고, 1995년 1월 1일 강릉시와 명주군의 시군 통합으로 현재의 강릉시 관할이 되었다.
2005년 녹색연합에서 ‘왕산면(旺山面)’의 한자를 ‘왕산면(王山面)’으로 개칭할 것을 제안하였고, 2006년 행정안전부에서 왕산면의 왕(旺)자를 왕(王)으로 변경하여 ‘왕산면(王山面)’이 되었다.
[자연환경]
왕산면은 대부분이 산간에 위치한 구릉지이며 전체 면적의 50%가 해발 700m가 넘는 고랭지 지역이다. 왕산면 내에는 도마천을 비롯한 5곳의 준용 하천과 50여 개소의 소하천이 흐르고 있다.
[위치와 교통]
강릉시 서남쪽 16㎞ 지점의 왕산면사무소를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평창군 도암면, 정선군 임계면과 접하고, 동쪽으로는 구정면과 옥계면, 남쪽으로는 성산면과 접하고 있다. 삽당령 닭목재를 분수령으로 영상(嶺上), 영하(嶺下) 지역으로 대별된다. 왕산면 내의 주요 도로는 강릉시와 정선군을 연결하는 국도 35호선과 지방도 410번·415번이 개설되어 정선·동해·태백·평창으로 연결되는 교통이 편리해졌다.
[현황]
2016년 12월 말 현재 면적은 245.28㎢이며, 거주가구는 총 911세대에 1,742명[남 929명, 여 813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행정 구역으로는 도마리, 목계리, 왕산리, 송현리, 고단리, 대기리의 법정리 6곳, 행정리 12곳, 자연 부락 54곳으로 이루어져 있다.
왕산면의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특히 해발 700m가 넘는 영상 지구인 송현리, 고단리, 대기리는 고랭지 채소와 감자의 채종 단지로 전국에 씨감자를 공급하는 지역이다. 주민들은 상수도 보호 구역의 청정 자연 환경을 이용하여 지역 특화 작목의 개발과 농촌 관광을 통해 도시민들을 유치하고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대기리의 푸른고원 산촌 체험 마을, 왕산리의 녹색 농촌 체험 마을, 왕산골 8경[제1경 구암벽, 제2경 잿물소, 제3경 비룡 폭포, 제4경 청성 폭포, 제5경 참참이소, 제6경 찍소 폭포, 제7경 임내 폭포, 제8경 돼지바위 계곡], 노추산 모정탑길, 도마리 및 왕산리 한옥체험장, 제왕산성, 커피커퍼 커피박물관 등이 있다. 커피박물관 농장에서는 커피나무 축제가 열린다. 특히 대기리는 고랭지 지역의 특성을 살려 마을 주민들이 농업과 관광을 연계한 도시민의 체험장, 휴양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계절별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기4리 안반데기는 강릉시에서 가장 고지대에 위치한 농업생산지역이며, 마을에 펼쳐진 채소밭과 설경이 장관을 이루고 있어 힐링 사진대회가 개최되는 등 사철 사람들이 찾는 명소이다.
주요 기관으로는 왕산 초등학교, 왕산 중학교, 왕산 우체국, 강릉 농업 협동 조합 왕산 지소, 강원도 감자 원종장, 국립 산림 품종 관리 센터 강릉 지소, 왕산 보건 지소, 고단 보건 진료소, 대기 보건 진료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