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공주갑사삼세불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460
한자 公州甲寺三世佛圖
영어의미역 Platform Painting of Buddhas of the three acons of Main Buddha hall of Gapsa Temple
이칭/별칭 갑사 대웅전 삼세불회탱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창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후불화
제작시기/일시 1730년연표보기
제작지역 공주
작가 의겸
소장처 갑사
소장처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2 지도보기
소유자 갑사
관리자 갑사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문화재 지정일 2007년 10월 30일연표보기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갑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개설]

본래 「석가후불화」, 「약사후불화」, 「아미타후불화」 3폭이 한 조를 이루는 『삼세불회도』였으나 수년 전 왼쪽의 「약사후불화」를 도난당하여 지금은 2폭만 남아 있다. 1700년대 전라남도 조계산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던 화사 의겸이 으뜸 화원을 맡아 조성하였다.

[형태 및 구성]

두 불화 모두 전형적인 군도 형식이고, 화면 중앙 상단부에 본존불을 큼직하게 그려놓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석가후불화」의 경우 문수, 보현 협시보살과 2대 보살, 제석, 범천, 사천왕, 10대 제자와 팔금강, 용왕, 용녀를 주위에 배치한 반면, 「아미타후불화」는 관음, 세지 협시보살을 비롯한 6대 보살과 사천왕, 타방불, 4대 제자와 6금강을 주위에 그려넣어 권속들의 배치가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특징]

「공주갑사삼세불도」는 불상 뒤쪽 후불벽에 걸도록 되어 있는 족자 형태이다.

[의의와 평가]

비록 「약사후불화」를 잃어버리기는 하였지만, 조선 후기의 대표 화원인 의겸의 전성기 작품으로, 화면의 구성, 인물의 형태, 색채 및 필선 등에서 의겸 화파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어 당시 불교 화단의 흐름 파악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