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2655 |
---|---|
한자 | 公州錦江鐵橋 |
영어의미역 | Gongju Geumgang Iron Bridge |
이칭/별칭 | 금강교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근현대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163|신관동 553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정금윤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6년 3월 2일 - 공주 금강철교 국가등록문화재 제232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공주 금강철교 국가등록문화재 재지정 |
성격 | 교각 |
양식 | 철교 |
건립시기/연도 | 1933년 11월 25일경 |
높이 | 20m |
길이 | 514m |
소재지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163|신관동 553 |
소유자 | 공주시 |
관리자 | 공주시 |
문화재 지정번호 | 국가등록유산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서 금강을 가로질러 신관동의 전막으로 연결되는 철교.
[건립경위]
공주 금강철교는 서울에서 목포를 연결하는 국도 1호선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다리로 1932년 1월 2일에 착공하여 1933년 10월 23일에 준공하였다. 철교가 완성되기 전에는 배를 연결하여 왕래했으나 비가 올 때에는 금강의 수량이 증가하여 통행에 어려움이 많았던 상황에서 1932년 충청남도 도청의 대전 이전에 따른 보상으로 철교를 완성하였다. 이에 의해 공주는 서울에서 호남에 이르는 육로 교통의 일부를 분담하게 되었다.
[형태]
철교가 완공될 당시 길이는 약 514m, 폭은 6m였으며, 교각의 평균 높이는 약 20m였다.
[현황]
현재는 1t 트럭 이하의 화물차량과 승용차급에 해당되는 차량의 강남에서 강북 방향으로의 일방통행만 허용하고 있다. 다리 상하에는 총천연색의 조명등을 가설하여 금강의 밤을 밝히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공주 금강철교는 1933년 준공 당시 한강 이남에서 가장 긴 다리였다. 당시로서는 최첨단의 공법으로 건설되어 교량 건설의 새로운 장을 연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교량사적 가치와 조형적 가치가 더해져 교량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2006년 3월 2일 국가등록문화재 제23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2024년 5월 17일에 국가등록유산으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