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송곡2리 삼동 동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1320
한자 松谷二里三洞洞祭
영어의미역 Songgok 2-ri Sam-dong Village Ritual
이칭/별칭 동제,당제,당나무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송곡리 삼동
집필자 이창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신앙|동제
의례시기/일시 정월 열나흗날[음력 1월 14일] 자정
의례장소 당나무 앞
신당/신체 소나무[신수 형태]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송곡리 삼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동제는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동민들의 무병과 풍년을 빌기 위해 드리는 마을 제사로서 대표적인 공동체 신앙이다. 동제는 마을 단위로 행해지는데, 고령 지역의 동제는 마을마다 약간의 특징과 상이함을 가지고 있다. 고령 지역에서 동제를 부르는 이름은 매우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산신제, 동신제, 동제, 당제, 당산제, 마을 제사 등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송곡리는 원래 성주군 벌지면에 속했던 지역으로서 씨실, 금곡, 송곡이라고 불리었다. 그러나 1906년(고종 43)에 송곡리는 고령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의 통폐합에 따라 하로동과 삼동을 병합하여 송곡리가 되었다. 현재 삼동마을은 행정구역상으로 송곡2리에 속하며, 송곡2리에는 삼동마을 외에 동쪽으로 2㎞ 가량 떨어진 낙동강 가의 하노다마을이 함께 속해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신당의 형태는 신수(神樹)로서 마을 골짜기 중 ‘직골’이라는 곳에 있었다. 마을 주민들은 이 나무의 수령을 약 2~3백 년으로 기억하고 있다. 그러나 6·25전쟁 이후 몇 년 지나지 않아 잘려 나가 지금은 나무가 있었던 자리만 남아 있다.

[절차]

삼동마을 주민들은 동제를 지내기 3일 전부터 당나무와 동네 입구에 있는 나무 두 그루에 금줄을 치는 등의 정성을 드린다. 또한 동제를 모시기 위해 유사 3명, 제관 2명, 축관 1명을 선정한다. 당제의 제관 선정은 대잡이가 담당한다. 대잡이는 대나무를 길게 잘라 위에 솔잎을 꽂은 후, 풍물에 맞춰 신이 내리게 되면 대나무를 들고 제관으로 선정될 사람의 집으로 들어간다. 보통 제관은 우환이 없고 맑고 깨끗한 사람이어야 한다. 주로 노인들이 제관을 맡지만, 35세 이상이면 누구나 제관이 될 자격이 있다.

동제 전 삼동마을 모든 집의 마당에는 대나무에 솔잎을 꽂아 금줄을 두르고, 집 앞에는 황토를 뿌린다. 또한 제관들은 시장에 나가 제수를 구입하는데, 주로 한 마리 분량의 돼지고기, 소고기 약간, 백설기, 콩나물, 무나물, 고사리나물, 시금치나물, 감, 밤, 대추, 배, 막걸리 등이다. 그리고 참기름 종지에 문종이를 꽂아서 종짓불도 만든다.

동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거행하고, 제관들만 음식을 나를 수 있다. 제관들은 음식을 차린 후 술을 따르고 절을 하며, ‘온 마을이 잘 되고 태평하기’를 바라는 소지를 올린다. 당제를 지낸 다음 날 오전에 마을 사람들은 제관 집에 모여 음복을 하는데, 이때 여자들은 음복에 참여하지 않고 남자들만 참석한다.

[현황]

고령군 다산면 송곡2리 삼동마을에서는 현재 동제를 지내지 않고 있다. 6·25전쟁 당시 삼동마을의 주변 마을에서 동제 나무가 잘리거나 불탄 마을이 많았다. 이러한 이유로 주변 마을에서 동제를 지내지 않게 되자 삼동마을에서도 동제를 지내지 않았다. 삼동마을 주민들은 동제를 지내지 않아도 별 사고가 없었으므로 6·25전쟁 이후부터 현재까지 동제를 지내지 않고 있다. 그러나 고령군 다산면 송곡2리 하노다마을에서는 동쪽에 있는 당산에서 정월 대보름에 산신제[송곡2리 하노다 동제]를 지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