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1366
한자 節氣
영어음역 Jeolgi
영어의미역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문애리

[정의]

경상북도 고령 지역에서 한 해를 단위로 24절기에 행해지는 풍습.

[개설]

절기는 1년을 태양의 황경(黃經)에 따라 15일 간격으로 24등분하여 계절을 구분하는 것이다. 황경이란 태양이 춘분(春分)에 지나는 점[춘분점]을 기점으로 하여 황도(黃道)[지구에서 보았을 때 태양의 1년 동안 하늘을 한 바퀴 도는 길]에 따라 움직인 각도를 말한다.

이 황경이 0°일 때 춘분, 15°일 때를 청명 등으로 구분한다. 즉 15° 간격으로 24절기가 구분된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각 계절은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의 4개의 절기로 시작된다. 24절기는 다시 절(節)과 중(中)으로 분류되어 입춘을 비롯한 홀수 번째 절기들은 절이 되고, 우수를 비롯한 짝수 번째 절기들은 중이 된다. 24절기는 입춘에서 시작하여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까지를 봄의 절기로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까지를 여름의 절기로 본다.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까지는 가을의 절기에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까지는 겨울의 절기에 속하게 된다.

또한 날짜가 경도에 따라 변하므로 양력은 매년 같지만, 음력은 조금씩 달라진다. 음력의 날짜가 계절과 차이가 많이 날 때는 윤달[閏月]을 넣어 계절과 맞게 조정하는데, 태양력을 사용하는 오늘날에도 농촌에서는 관습적으로 계절의 변화를 확인하는 데 널리 쓰이고 있다.

[고령의 절기 행사]

경상북도 고령 지역에서는 24절기 가운데 입춘과 청명, 동지에만 뚜렷한 절기 행사를 행하고 있다.

1. 입춘

입춘이 드는 시기에 대문, 부엌문, 광, 기둥 등에 ‘입춘대길(立春大吉)’과 ‘건양다경(建陽多慶)’ 등을 써 붙였다. 작년에 써 놓은 것이 있으면 떼어 내고 붙이는 사람도 있지만, 그냥 그 위에 새로 붙이기도 한다. 입춘이 드는 입춘시(立春時)가 따로 있기 때문에 그 시간에 맞춰서 글씨를 붙이는 경우도 있다. 또 입춘날 입춘시에 삽작[대문 앞]에서 삼재막이를 한다. 우선 ‘관세음보살’을 108번 외우고, 삼재가 든 사람이 입었던 속옷에 주소, 성명, 생일 등과 ‘삼재액살소멸(三災厄煞燒滅)’을 써서 불태운다. 또한 입춘을 즈음해서 보리 뿌리를 캐 본다. 보리 뿌리가 건실하게 길게 뻗고 병이 없으면 그 해 보리농사가 잘 되겠다고 좋아한다.

2.한식·청명

한식과 청명에는 묘를 이장하거나 손질을 해도 탈이 없다고 한다. 그래서 이날 성묘를 가거나 사토를 하는 등 조상들의 묘소를 돌보는 일을 한다.

3. 동지

동지에는 어느 가정에서나 팥죽을 쑤어 먹는다. 동지 팥죽은 먼저 조상과 삼신, 성주, 조왕 등의 가신에게 한 그릇씩 떠서 올리며, 대문이나 벽의 집안 사방에 팥죽을 수저로 뿌리고 난 후에 먹는다. 팥죽이 액을 막고 잡귀를 없애 준다고 믿었다.

[현황]

과거 농경 사회는 농사력과 더불어 절기가 농경생활의 지침서 역할을 하였지만, 현재 고령 지역에서 절기에 의존하여 짓는 농사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이다. 특히 고령 지역에서는 계절적 변화에 민감한 논농사보다는 특수 시설 작물 재배가 늘고 있으므로 절기와 관련한 세시풍속들이 많이 소멸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