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042 |
---|---|
한자 | 水莞洞王- |
영어공식명칭 | Giant pussy willow in Suwandong |
이칭/별칭 | 귀류,하류,왕버들나무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식물/보호수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동 870-1|수완동 700-1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홍행화 |
최초 식재 시기/일시 |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 수완동왕버들 식재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9년 4월 30일![]() |
소재지 | 수완동왕버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동 870-1|수완동 700-12![]() |
학명 | Salix chaenomeloides Kimura |
생물학적 분류 | 말피기문〉버드나무과〉버드나무속〉왕버들 |
수령 | 350~400년 |
관리자 | 광주광역시 |
보호수 지정 번호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4호 |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동에 있는 수령 350~400년의 왕버들 두 그루.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수완동왕버들은 광산구 수완동 하완마을 앞 모정 옆에 한 그루가 있고, 남동쪽으로 약 150m의 거리에 한 그루가 더 있다.
수완동왕버들은 낙엽활엽교목이다. 어긋나기로 새로 나오는 잎은 붉은빛이 나지만 다 자란 잎의 표면은 녹색으로 광택이 있고 뒷면은 흰빛이 난다. 잎의 가장자리에 안으로 굽은 가는 거치가 있다. 암수딴그루로 꼬리모양의 꽃차례는 위를 향하여 자란다.
광산구 수완동 하완마을 부근의 수문저수지는 1879년에 편찬한 『광주읍지』에 기록된 완동방죽으로, 광복 전까지는 정자 옆에 있는 왕버들나무에 당산제를 지냈다고 한다.
광산구 수완동 북쪽의 왕버들은 높이 16m, 둘레 약 3.35m로 가지는 사방으로 고르게 뻗어 있고, 남쪽의 왕버들은 높이 15m, 둘레 약 3.4m로 남쪽으로 가지가 크게 뻗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