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광주읍지 - 1924년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887
한자 國譯光州邑誌1924年板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24년 - 『광주읍지』 증보판 간행
간행 시기/일시 2004년 1월 30일연표보기 - 『(국역)광주읍지 : 1924년판』 간행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간행처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48-25[용봉동 1004-4]지도보기
성격 인문지리지
편자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실
번역자 김경욱 외

[정의]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에서 2004년에 발간한 『광주읍지』 1924년판의 국역본.

[편찬/간행 경위]

『광주읍지(光州邑誌)』는 1491년(성종 22) 최초로 간행된 이래 1699년(숙종 25)과 1879년(고종 16), 그리고 1924년에 증보판(增補版)이 간행되었다. 『(국역)광주읍지 : 1924년판』은 1879년 기묘판(己卯版)을 대폭 수정·보완한 1924년 갑자판(甲子版)을 저본(底本)으로 한 것이다.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지금의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서 광주 관련 국역 고서 제1집으로 간행하였다. 전라남도 광주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차원에서 국역(國譯)을 하게 되었다.

[형태]

본문 606쪽, 영인본(影印本) 74쪽 등 총 680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크기는 27㎝이다.

[구성/내용]

『광주읍지』는 광주읍지서(光州邑誌序), 범례(凡例)에 이어 광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건치연혁(建置沿革), 군명(郡名), 관원(官員), 성지(城池), 도로(道路), 방리(坊里), 산천(山川), 제축(提築), 장시(場市), 교량(橋樑), 성씨(姓氏), 풍속(風俗), 형승(形勝), 학교(學校), 서원(書院), 단묘(壇廟), 공해(公廨), 역원(驛院), 사찰(寺刹), 누정(樓亭), 고적(古跡), 책판(冊版), 물산(物産), 진공물선(進貢物膳), 상납(上納), 호구(戶口), 전총(田摠), 전세(田稅), 대동(大同), 균세(均稅), 봉름(俸廩), 요역(徭役), 창고(倉庫), 조적(糶糴), 군기(軍器), 군액(軍額), 노비(奴婢), 신증(新增)[호구(戶口), 회사(會社)], 읍선생(邑先生)[신라(新羅), 고려(高麗), 본조(本朝), 본조(本朝) 판관(判官)], 인물(人物)[고려문과(高麗文科), 본조문과(本朝文科), 본조무과(本朝武科), 본조음사(本朝蔭仕), 본조증직(本朝贈職), 본조수직(本朝壽職), 본조(本朝) 생원(生員)과 진사(進士)], 재학(才學)[신라(新羅), 고려(高麗), 본조(本朝), 신증(新增)], 문행(文行), 충신(忠臣), 덕망(德望), 효자(孝子)[고려(高麗), 본조(本朝), 신증(新增)], 효녀(孝女)[효부신증(孝婦新增)], 열녀(烈女)[고려(高麗), 본조(本朝), 신증(新增)], 읍지발(邑誌跋), 원본영인(原本影印) 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신라·고려 이후 수천 년의 읍호 변천과정을 비롯하여 인물의 성쇠(盛衰) 관계가 드러나 사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1924년 갑자판은 이전에 간행된 읍지와 비교하였을 때, 근대화의 시기가 포함되어 있어 내용상의 변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