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801670 |
---|---|
한자 | 地神- |
이칭/별칭 | 마당밟이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놀이/놀이 |
지역 |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도통리 중평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성식 |
성격 | 세시풍속 |
---|---|
노는 시기 | 정월 초사흗날~정월 대보름 |
관련 의례 행사 | 걸립 |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정월 초사흗날부터 마을 풍물패가 각 가정을 돌며 제액초복을 기원하는 세시 풍속.
[개설]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도통리 중평 마을 지신밟기는 정월 초사흗날부터 대보름날 사이에 풍물패가 조직되어 가가호호를 방문하면서 치른다. 지신밟기는 새해를 맞이하여 영기(令旗)를 앞세우고 농악대, 잡색, 주민이 패를 지어 집집마다 돌면서 진행된다. 집에 당도해서는 집안의 가신(家神)에게 한바탕 신명나게 농악으로 고하고 지신을 밟아 주어 잡귀, 잡신을 몰아내고 무병과 태평하기를 축원하는 세시 의례이다.
[연원]
지신밟기는 상당히 오래 전부터 관행이 되어 온듯하나 그 연원을 문헌 기록으로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다만 『삼국지』「위지」 동이전을 통해서 고대 제천의식에서 사람들이 무리지어 춤추고 노래 부르며 노는 데서 연유하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은 가능하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 부여조(夫餘條)에서 “음력 정월에 제천 의식을 거행하고, 국중 인민이 모여 연일 음주가무하는데, 그것을 영고(迎鼓)라 했다.”거나, 고구려조에서 “백성이 즐겁게 노래와 춤을 즐기고, 나라안의 모든 촌락에서는 날이 저물자 남녀가 무리로 모여서 서로 노래하고 희롱했다. 그것을 동맹(東盟)이라 했다.” 등이 그것이다.
지신밟기에서 ‘지신(地神)’은 집 마당의 터주신으로 무속 신앙에서는 ‘지신굿’ 거리가 있으며, 가택 신앙과 연관된 지신밟기에서는 터주를 관장하는 ‘토신(土神)’으로 간주되기도 하고, 또 인간에게 해를 입히는 잡신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런 맥락으로 볼 때 지신밟기의 연원은 고대의 토착 신앙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겠다.
[놀이 방법]
성수면 중평 마을 지신밟기는 마을의 가가호호를 돌며 하는데, 질굿을 치며 동네로 들어가 특정 집 대문 앞에서 문굿을 치고, 마당으로 들어간 뒤에는 넘는 가락, 두 마치 가락으로 맺는다. 보통 열두 마치로 이동하여 성주굿, 액풀이굿, 정지굿, 장광굿, 노적굿, 술굿을 차례로 치고 주인에게 인사를 드린 다음, 다른 집으로 옮겨간다.
1. 성주굿, 정지굿
어룸굿을 치고 재담을 나눈 다음 ‘성주풀이’를 부른다. 성주풀이에 이어서 ‘터 잡는 소리’를 하기도 한다. 노래를 끝내고 축원문을 외친 다음 성주굿가락을 풍물로 울리고, 이어서 넘는 가락 두 마치를 치고 맺는다. 다시 열두 마치를 치며 다음 장소로 이동하여 넘는 가락을 치고 두 마치를 친다. 이때의 재담은 다음과 같다.
상쇠 : 화동!
치배들 : 예이!
상쇠 : 정월대보름 날 이댁에 와서 배가 터지도록 먹었네 그려. 폐일언하고 배꼭지가 요강꼭지만치 늘어났네. 그라먼 성주굿을 치는디 어떻게 치는고니 말이여. 일등명창 광대들 데려다놓고 성주풀이도 하고.
2. 액풀이굿
재담 끝에 축원문을 리듬에 맞추어 읊고 풍물가락을 울린다. 축원문은 “오방 신장에 합다리굿 잡귀잡신을 몰아내세 그걸 여을령 삽바세”라고 외친다. 그리고 “준연이면 열두 달이고 과년이면 열 석달인디 날이면 날마다 명과 복을 져 들이고 재수로는 말이여, 물 묻은 바가지 깨 달라붙듯이 그 말이여. 그러고 냉매지악 우환질병 관재수는 저 대동강에다 띄워버리세.”라고 외치고 액풀이굿, 넘는 가락, 두 마치 가락을 차례로 친다.
3. 샘굿
상쇠 : 화동!
치배들 : 예이!
상쇠 : 성주굿 칠적으는 쌀도 갖다놓고 돈도 갖다놓는디 용왕님네가 삐쳤네 삐쳐.
동해바다 용왕님네 남해바다 용왕님네 서해바다 용왕님네 북해바다 용왕님네 맹강수 청강수 철철 아따 그 물 맛좋다 아들 낳고 딸 낳고 미역국에 밥 말세.
이어서 샘굿가락, 넘는 가락, 두 마치, 열두 마치, 넘는 가락, 두 마치 가락을 친다.
4. 장광굿
장광굿의 축원문은 “아랫노적 웃노적 좌우노적 웃노적”이라고 한다.
5. 노적굿
노적굿의 축원문은 “쥐들어 간다 쥐들어 간다 장독 밑에 쥐들어 간다”라고 외친다. 질굿을 치고 마당을 돌아 주인 앞에 와서 넘는 가락과 두 마치를 치고 인사굿으로 인사한 뒤 다시 질굿을 치며 다음 집으로 넘어 간다.
[현황]
현재 성수면 중평 마을에서는 지신밟기를 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진안에는 전라좌도 진안 중평굿 보존회가 결성되어 전수 및 공연 활동을 하고 있으며, 지신밟기도 정초에 원하는 마을이 있을 경우에 보존회 차원에서 행하고 있다. 현재 진안읍 연장리와 오천리 마을 등에서 지신밟기를 하고 있다. 또한 전라좌도 진안 중평굿 보존회에서 주관하는 행사로 정월 대보름굿 ‘망월이야’가 있는데, 이 행사에 맞춰 진안 읍내 시장을 돌며 지신밟기를 해마다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