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300413
한자
이칭/별칭 관진(關津),진관(津關),도(渡),도진(渡津),나루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양주시
시대 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정학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재지 미호진 -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
소재지 광진 -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소재지 대탄진 -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

[정의]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경기도 양주 지역의 주요 수상 교통로에 설치된 나루.

[개설]

고려와 조선 시대 때 국가에서는 주요 교통로 상의 강변 요충지에 진(津) 또는 도(渡)를 설치하여 강을 건너는 사람들을 검색하거나 여기에 배치된 진도선(津渡船)[나룻배]을 이용하여 국가의 명령 전달, 사람과 물자 수송 등 교통과 통신 기능을 담당하게 하였다.

진의 관리와 운영을 위해 고려 시대에는 구당(勾當)이라는 관원과 진척(津尺)을 두었으며, 진전(津田)으로 운영 경비를 조달하게 하고 진척에게는 위전(位田)을 지급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도승(渡丞) 혹은 별장(別將)과 진부(津夫)를 두고, 도전(渡田)으로 진의 운영 경비를, 진부에게는 진부전(津夫田)을 지급하여 생활하게 하였다.

[양주 지역의 진]

조선 시대 양주 지역에 설치된 진으로는 미호진(渼湖津), 광진(廣津), 대탄진(大灘津) 등이 있었다.

1. 미호진

『여지도서(輿地圖書)』와 『대동지지(大東地志)』 등 조선 후기 자료에 따르면 미호진은 독음면(禿音面)에 있는데 미음진(美音津·美陰津·渼音津) 또는 독진(禿津)이라고도 하며, 현재 양주시 유양동 일대에 있던 당시 양주 치소에서 동남쪽 24~28㎞[현재 남양주시 수석동]에 있고 사선(私船) 1척이 있으며 광주(廣州)와 통한다고 하였다.

2. 광진

광진광나루로서 고양주면(古楊州面)에 있는데 양주 치소에서 동남쪽 30~32㎞[현재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에 있고 진선(津船) 3척이 있으며 미호진과 같이 광주와 접해 있다고 하였다.

3. 대탄진

대탄진청송면(靑松面) 대탄강[현재의 한탄강]에 있는데 양주 치소에서 북쪽 24㎞[현재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에 있고 진선(津船) 1척이 있으며 연천(漣川)으로 통하는 길목이라 하였다.

[관련 기록]

1. 『여지도서』 경기도 양주목 교량

미호진(渼湖津) : 독음면(禿音面)에 있으며 양주 치소 남쪽 60리 떨어져 있고 사선[私舡] 1척이 있다. 광진(廣津) : 고양주면(古楊州面)에 있으며 양주 치소에서 남쪽으로 80리 떨어져 있고 진선[津舡] 3척이 있는데, 미호진(渼湖津)과 함께 광주(廣州) 경계와 접해 있다. 대탄진(大灘津) : 청송면(靑松面)에 있으며 양주 치소에서 북쪽으로 60리 떨어져 있고 진선[津舡] 1척이 있는데, 연천(漣川)과 통하는 길목에 있다.

2. 『대동지지』 진도

미음진(美音津) : 동남쪽으로 70리에 있으며 광주(廣州)와 통한다. 광진(廣津) : 동남쪽으로 75리에 있다. 광주(廣州)에 보라. 대탄진(大灘津) : 대탄강에 있으며 연천(漣川)과 통하는데 겨울에는 다리를 놓는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