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0511
한자 近代
영어음역 Geundae
영어의미역 Modern Period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구완회

[정의]

개항 이후 해방에 이르기까지 충청북도 제천 지역의 역사.

[개설]

전형적인 산간 고을이었던 제천은 근대를 거치면서 항일 의병의 본산이 되어 탄압을 받았고,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다양한 저항 운동을 경험하였다. 경제면에서는 밭곡식을 주로 재배하였는데 점차 담배 재배 등 수익성 작물의 재배 비중이 높아졌다. 또한 철도·도로 등 산업 기반 시설의 확충이 이루어졌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일본의 침탈을 위한 수단으로서 지역 주민은 일제의 경제적 수탈에 곤궁한 삶을 이어나갈 수밖에 없었다.

[개항기]

개항 이후, 단발령까지 내려지자 척사 위정을 내세우던 제천의 보수적인 선비들을 중심으로 항일 의병이 조직되었다. 장담에서 강학하던 유중교(柳重敎)의 제자들이 중심이 되었는데 유인석(柳麟錫)을 대장으로 내세우고 대규모 부대를 건설하여 한때는 충주까지 점령하였고 주변의 10개 남짓한 고을을 장악하였다. 친일적 관료의 처단을 일차적인 목표로 한 제천 의병은 비타협적인 강경 노선을 주장하면서 선명한 투쟁 노선을 내세웠다. 이에 따라 다른 곳에서 의병을 일으킨 많은 의진들이 집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병은 1905년에도 일어났고, 1907년의 군대 해산과 고종의 강제 퇴위 후에 본격적으로 재기하였다. 이강년(李康秊)을 비롯한 수많은 의병 부대가 건설되어 일본군과 맞섰는데 그 때문에 제천시 대부분이 불태워지는 수난을 겪어야 했다. 한때 가평까지 북상하여 이인영(李麟榮)의 서울 진공 작전에 참여하기도 했던 이강년은 이듬해 여름에 체포되었지만, 동지들이 이강년의 깃발을 이어받아 국망 이후까지 투쟁을 거듭하였다.

[일제 강점기]

일제에 강제 병합되던 당시 제천은 4만 명 남짓한 인구 규모를 가진 고을이었다. 주민 대부분이 농민으로 밭농사를 주로 했으며 식생활도 잡곡 중심이었으나 벼농사도 일부 행해졌다. 의림지수리조합이 건설되어 농업 경영에 도움을 주었다. 충청북도 내에서 닥 농사 실적이 가장 좋았고 황색 연초 재배도 이루어져 농민들의 수입원이 되었다.

그러나 일제는 식민지 지배 기구를 앞세워 조선의 농민들을 침탈하였다. 제천군과 청풍군을 합치고 전면적으로 면제를 실시했으며, 헌병 경찰 조직을 통하여 주민을 강력하게 통제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주민은 이권을 점차 강탈당하고 있었다. 의림지의 수리를 누리는 좋은 땅을 일본인들이 잠식해 들어갔고, 엽연초 재배도 전매를 통하여 이익을 누리려는 일본의 의도가 강력했기 때문에 원망이 많았다. 상업 부문에서도 잡화상 등을 통하여 일본인 상인들이 이익을 독차지하다시피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저항이 3·1 운동 때부터 명백히 나타났다. 이범우(李範雨)를 비롯한 선구자들이 제천만이 아니라 횡성, 원주, 단양 등지의 만세 운동을 조직하고 전개하였다. 이에 일제는 무단 통치를 포기하고 문화 통치를 선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천 지역에서는 노동 운동, 농민 운동, 각종 청년 운동 등을 통하여 식민지 조선의 실상을 깨우치려는 노력이 전개되었다. 그 결과 광복군 사령관 대리였던 황학수(黃學秀)의 예에서 보듯이 나라 밖에 나가서 활약하는 애국지사도 많이 배출되었다.

한편, 일제의 지배와 함께 사회 간접 자본이 점차 확충되었다. 1920년대 말부터 자동차 도로망이 점차 정비되기 시작했으며 충주까지 부설된 철도를 제천까지 끌어들이려는 노력이 추진되었으며, 1940년대 초에는 중앙선 철도 공사가 마무리되었다. 이에 따라 내륙 지역의 개발이 추진되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일제의 효율적인 수탈을 위한 기반 시설에 불과하였다. 당시 제천 주민들은 식량 자급이 불가능한 농가가 대부분일 정도로 궁핍을 면하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