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하 덕주사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0639
한자 下德周寺址
영어음역 Ha Deokjusaji
영어의미역 Hadeokjusa Temple Sit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3
시대 고대/삼국 시대/신라
집필자 김인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1년연표보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3년연표보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5년연표보기
소재지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3 지도보기
성격 절터
관리자 덕주사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에 있는 고려~조선 시대 절터

[개설]

덕주사는 587년(신라 진평왕 9)에 창건되었다는 구전과 덕주부인이 절을 세웠다는 기록이 전하는 고찰(古刹)이다. 유적 내에 확인되는 유물을 토대로 할 때 고려 초기에 창건된 것으로 여겨지며, 조선 시대까지 법등(法燈)을 이어오다가 6·25 전쟁 때 소실되었다.제천 덕주사 마애 여래 입상이 있는 곳에 상(上) 덕주사지가 있었고, 최근 중창된 덕주사가 있는 곳에 하(下) 덕주사지가 있었다.

[변천]

587년에 창건되었다는 구전은 이를 뒷받침할 만한 기록과 유물이 없고, 유적에서 수습되는 석탑 기단 석재와 옥개석[지붕돌] 기와편 등 유물의 상한선이 고려 초기인 점을 볼 때, 사찰의 창건 시기도 고려 초기로 추정된다.

『증지수좌관오묘지명(證智首座觀奧墓誌銘)』에 “ □□사급원당충주덕주사 소집산승 상치축성도량( □□寺及願堂忠州德周寺 召集山僧 常置祝聖道場)”이라는 기록을 있다. 즉 유가종(瑜伽宗) 고승 관오(觀奧)[1096~1156]가 당시 원당이었던 덕주사에서 산승(山僧)을 불러모아 국왕의 만수무강을 비는 축성도량(祝聖道場)을 설치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고려 전기에 덕주사가 왕실과 깊은 관련 속에서 운영되고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덕주사가 상·하로 구분되어 운영되기 시작한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으나 하 덕주사지에서 발견된 금구를 통해 볼 때 고려 후기에 이미 상 덕주사(上 德周寺)와 하 덕주사(下 德周寺)로 구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즉 금구에는 “태화 6년 병인년 8월 21일에 상 덕주사 금구 하나를 만든다. ……"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태화 6년인 1206년 당시 상 덕주사가 존재했음을 알려준다.

또한 조선 후기에는 “덕주하사(德周下寺)를 승통소(僧統所)로 하여 삼남(三南)의 승군(僧軍)을 번갈아 교대로 지키게 했다"[『진재집(進齋集)』「한훤관방방략(寒暄關防方略)」]라는 기록을 통해 하 덕주사가 승병의 통괄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법맥을 이어나가던 상 덕주사하 덕주사는 6·25 전쟁 당시 국군 제8사단에 의해 소실되었다고 한다.

[위치]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에서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로 통하는 길을 가다 보면 덕주사 주차장을 지나자마자 덕주교가 나타난다. 다리를 건너 왼쪽에 덕주사로 오르는 시멘트 포장길이 나오는데 이 길을 따라 1.2㎞ 정도 가면 덕주사에 이른다. 진입로 중간에는 제천 덕주산성 하성(下城)과 중성(中城)을 지나게 된다.

[현황]

1960년대 중건된 하 덕주사의 사역 내에는 고려 시대 초기 제작으로 짐작되는 석탑 기단석, 옥개석[지붕돌], 지대석과 전(傳) 정금사지(淨金寺址)에서 이전해 온 제천 덕주사 석조약사여래입상[충청북도 유형 문화재 제196호], 제천 송계리 대불정주범자비[충청북도 유형 문화재 제231호], 4기의 부도 등 많은 유물이 있다.

현재 하 덕주사지에는 1963년에 지암화상(智岩和尙)과 1970년, 1985년에 성주화상(性珠和尙)이 중창한 덕주사가 자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