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황강서원 묘정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0610
한자 黃江書院廟庭碑
영어음역 Hwanggangseowon Myojeongbi
영어의미역 Monument Hwanggangseowon Confucian Academy
이칭/별칭 묘정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종교/유교
유형 유적/비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산3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제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97년연표보기
이전 시기/일시 1983년연표보기
현 소재지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산33 지도보기
원소재지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황강리
성격 비석
크기(높이, 너비, 두께) 163㎝[비신 높이]|127㎝[비좌 높이]|63.5㎝[비신 너비]|90㎝[비좌 너비]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비석.

[개설]

황강서원 묘정비는 황강서원(黃江書院)의 내력을 기록한 비석이다. 황강서원(黃江書院)은 1726년(영조 2)에 송시열(宋時烈), 권상하(權尙夏), 한원진(韓元震), 권황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되어 그 다음해인 1727년(영조 3)에 ‘황강’으로 사액(賜額)되었고, 1871년(고종 8)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건립 경위]

황강서원 묘정비는 1797년(정조 2l)에 세워진 것으로 송시열의 5대손 송환기(宋煥箕)[l728~1807)가 찬(撰)하고, 민태혁(閔台爀)[l746~1806]이 서(書)하고, 김이구(金履九)[1746~1812)가 전(篆)하였다.

[위치]

황강영당 마당에 1727년(영조 3)에 세운 수암선생 구택지비(遂庵先生舊宅之碑)와 함께 서 있다. 본래 제천시 한수면 황강리에 위치하였던 것을 충주댐 수몰로 인하여 1983년 현 위치로 이건(移建)하였다.

[형태]

비신은 163×63.5×17.5㎝이고, 비좌는 127×90×27㎝, 가첨석은 높이 54㎝이다.

[금석문]

앞면에 전서로 ‘황강묘정비(黃江廟庭碑)’라 쓰고, 행서로 비명을 썼다. 『한수재선생집(寒水齋先生集)』에는 두 개의 묘정비명(廟庭碑銘)이 남아 있다. 그 중 하나는 현재 묘정비에 새겨진 송환기(宋煥箕)[l728~1807]가 찬(撰)한 글이며, 다른 하나는 1745년(영조 21) 권섭(權燮)이 쓴 글이다.

[의의와 평가]

황강서원 묘정비는 황강서원의 역사와 변화를 기록하고 있고, 송시열과 그 제자들의 인식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특히 송시열의 학문적 성과를 계승한 권상하는 스승인 송시열이 관작을 추탈당하고 유배되어 남인이 정권을 잡게 되자 고향인 황강으로 돌아와 학문에 힘썼고, 송시열 사후에는 그 유언에 따라 1704년(숙종 30)에 임진왜란 때에 원군을 보내 우리나라를 도와준 명나라 신종과 의종을 제향하는 만동묘를 화양동에 세웠던 인물이다. 이같이 16세기에 정립된 이황(李滉), 이이(李珥)의 이론 중에서 이이, 송시열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학통을 계승하였던 인물과 관련된 유물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더욱이 비석은 현재 충청북도 기념물 제18호로 지정된 황강영당수암사 내에 위치하고 있는데, 황강서원 역시 본래 1726년(영조 2)에 창건되어 그 다음해인 1727년(영조 3)에 황강서원으로 사액되었고, 1871년(고종 8)에 훼철되어 송시열, 권상하, 한원진, 권욱, 윤봉구 등의 영정이 있는 황강영당으로 변모된 과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 흥미롭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