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0913
한자 孝子
영어음역 Hyoja
영어의미역 Dutiful Son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정제규

[정의]

충청북도 제천 지역 출신이거나 제천에 연고가 있는 사람으로서 부모를 효성으로 극진하게 봉양한 자녀.

[개설]

효는 동양 사회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겼던 사상이다. 공자(孔子)는 올바른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핵심 요소로 인(仁)을 주장하였는데, 인이란 “사람을 사랑하는 것[愛人]”이며 “나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는 것[克己復禮爲仁]”이었다. 그리고 그 인을 실천하는 근본으로서 “효성과 우애가 인을 실천하는 근본[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이 효라고 하였다. 이 같은 효 사상을 유교의 중심 사상으로 이해한 것은 맹자(孟子)였다. 그는 효를 백행(百行)의 근본으로 보았다.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의 태학(太學)과 신라의 국학(國學) 등에서 『논어(論語)』와 『효경(孝經)』 등을 교육하며 효에 대해 가르치기 시작했다. 고려 시대에는 국자감(國子監)을 설치하여 유교 경전을 학습하고, 상·중·하 3품에 걸쳐 『논어』와 『효경』을 필수 과목으로 하여 유교적 충효 사상을 중시하였다.

조선 시대에 이르러 효에 대한 관념은 정치·사회적 규범으로 체계화되었다. 조선 사회는 새로운 도덕적 규범과 준칙을 필요로 했는데, 여기에서 충과 효를 근본으로 하는 삼강오륜(三綱五倫)이 중요시되었다. 제천 지역에도 효와 관련된 인물과 유적이 상당수 남아 있어 조선 시대 정치적·사회적 규범으로 자리 잡았던 효 사상의 영향을 알 수 있다.

[문헌 기록으로 보는 효자들]

제천 지역에서 유교적 도덕규범에 근거하여 그 행적을 높이 평가한 인물에 대한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수록된 인물은 유자하(柳自河)로, “유자하는 부모를 지성으로 섬겨 아버지 병이 위급하자 똥을 맛보아 죽고 살지를 증험하였다. 일이 조정에 들리매 정려(旌閭)하였다.”고 그의 효행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한편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에도 “충청도 청풍 사람 충찬위(忠贊衛) 유자하”라고 하여 그 효행에 대해 기록을 남기고 있다.

1757년(영조 33)부터 1765년(영조 41) 사이에 걸쳐 각 읍에서 편찬한 읍지를 모아 편찬한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효자로 박전(朴瀍), 박시산(朴時山), 강재무(姜宰武), 강정환(姜鼎煥), 강재망(姜宰望), 박양한(朴良漢), 박양우(朴良遇), 윤개(允介), 일춘(一春), 말덕(唜德) 등 10명을 수록하고 있다.

그리고 1835~1849년 사이에 만들어진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와 1871년(고종 8)에 만들어진 『호서읍지(湖西邑誌)』에는 조이종(趙以悰)이 새롭게 포함되어 있고, 이전까지 수록되었던 강재무, 강정환, 강재망, 말덕 등에 대해서는 관련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이와 같은 현상은 1890년(고종 27) 이후의 시기에 작성되었다고 추정되는 『제천군읍지(堤川郡邑誌)』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대부분의 지역 사회에서 18세기 중후반까지는 유교적 도덕규범에 의한 공경의 대상이 되는 인물들이 상대적으로 적었다가 『조선환여승람(朝鮮環輿勝覽)』 또는 각 군에서 읍지류가 만들어지는 시기에 충신은 물론 효자, 열녀와 같은 인물들이 상당수 늘어나는 경향과는 대조적이어서 주목된다. 그러나 모범적인 삶을 살았던 이들의 숫자와는 상관없이 이들의 행적을 통하여 조선 사회는 풍속의 교화는 물론 사회를 안정시키는 통치력을 강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효행 관련 유적]

제천 지역에서 확인되는 효행과 관련한 유적으로 대표적인 것이 효자문과 효자각, 효자비 등이다. 효자문으로 대표적인 것은 제천시 송학면 도화리에 있는 박전 효자문(朴瀍孝子門)이다. 효자각으로는 충청북도 문화재 자료 제66호로 지정된 제천시 송학면 송한리의 이시진 효자각(李時振孝子閣)과 금성면 구룡리 재궁곡에 위치한 유자하 효자각(柳自河孝子閣)이 대표적이다. 효자비로는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에 위치한 윤하박 효자비(尹河博孝子碑), 청풍면 도곡리에 위치한 유시형 효자비, 송학면 송한1리에 위치한 오인용 효자비 등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