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0543
한자 陶窯址
영어음역 Doyoji
영어의미역 Kiln Site
이칭/별칭 가마터,요지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정동락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에 있는 토기나 도자기를 구워 내던 가마가 있던 터.

[개설]

도요지(陶窯址)는 토기나 도자기를 구워 내던 가마 유적으로, 우리말로는 가마터라고 한다. 토기 및 도자기를 원활하게 생산하기 위해서는 땔감이 되는 산림이 울창하고 풍부해야 한다. 그리고 만들어진 제품을 옮기기 편리한 운송로, 양질의 점토와 도토(陶土)가 생산되어야 하는 등의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도자 수공업의 중심지 고령]

고령 지역은 백두대간의 줄기를 이루는 가야산을 중심으로 미숭산, 의봉산, 운라산, 제석산, 소학산, 만대산, 금산, 주산 등의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땔감이 풍부하다. 또, 가야산에서 발원하여 운수면덕곡면을 거쳐 대가야읍으로 흘러내리는 대가천, 가야산 남쪽에서 발원하여 쌍림면을 통과하는 안림천대가야읍 남쪽에서 만나 회천을 이루어 우곡면에서 낙동강으로 합류한다.

그리고 토기의 원료가 되는 점토는 고령 전역에서 생산된다. 도자기의 원료가 되는 고령토는 고령 지역을 중심으로 성주·합천 등지에 상당량이 매장되어 있으며, 특히 가야산을 중심으로 양질의 고령토가 생산되어 현재도 광산이 조업을 하고 있다. 이처럼 땔감과 원료, 운송로 등의 3가지 조건을 잘 갖추고 있어 고령 지역에는 대가야시대 이래 조선시대까지도 토기와 청자[분청사기], 백자 등을 생산하는 가마터가 여러 곳에 분포하고 있었다.

고령 지역에는 크게 고령, 운수, 성산, 쌍림, 우곡 등 5개 지역에 토기 및 도자기를 생산하던 요지군이 있었는데, 여기에는 무려 120여 개소의 가마터가 분포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고령 지역은 여말선초 도자 수공업의 중심지로 경기도 광주에 버금가는 도자기 생산지로 평가받았다.

[문헌 자료에 보이는 고령 지역 도요지]

고령 지역은 조선시대 자기 수공업의 중심지였다. 이는 성현(成俔)의 『용재총화(慵齋叢話)』나 김종직(金宗直)의 『점필재집(佔畢齋集)』 등에서 고령현의 자기를 높이 평가한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즉, 『용재총화』 권10에는 “자기(磁器)는 외방 각 도에 만드는 사람이 많이 있으나, 고령에서 만드는 것이 가장 정교하다. 그러나 그것도 광주(廣州)에서 만든 것만큼 정묘하진 못하다.”고 하였다. 또 『점필재집』의 「이준록」 하에 있는 ‘선공사업 제4’에 따르면 “김종직의 부친인 김숙자(金叔滋)가 고령현감으로 부임하여 고령에서 매년 진공하는 백사기(白沙器)를 만드는 공인들을 잘 지도한 결과, 사기의 정치하고 선결함이 광주나 남원보다 우월해졌다.”는 구절이 있다.

또한, 『경국대전(經國大典)』에 기록된 외공장(外工匠)의 고령현 소속 사기장(沙器匠) 수가 6명으로 수록되어 있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경상도 지역의 경우 대부분 2명 혹은 1명인 데 비해 고령현은 그 수가 이례적으로 많은 것으로, 사기장은 경공장(京工匠)과 외공장으로 구분되며, 고령처럼 6명의 사기장이 있는 곳은 전라도의 순천과 부안 2곳뿐이었다.

이상에서처럼 고령 지역에서 생산되는 자기의 품질은 경기도 광주나 전라도 남원과 비견될 정도였다. 또한 자기를 생사할 수 있는 기술을 지닌 공인들도 여타 지역에 비해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고령 지역에는 자기소가 유명해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는 고령현의 예현리에서 생산되는 자기를 국내 도자기 중에는 상품으로 평가하고 있다.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 『경상도속찬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志)』 등의 토산 조에 실린 고령 지역 자기소는 다음과 같다.

① 자기소 재현동 예현리 상품(磁器所 在峴東 曳峴里 上品)-성산면 사부동, 기산동 도요지

② 자기소 재주동 흑수리 중품(磁器所 在州東 黑水里 中品)-운수면 대평리 분청사기요지

③ 자기소 재현남 하며리 하품(磁器所 在縣南 下旀里 下品)-우곡면 사전리 도요지

④ 자기소 재현동 구언리 하품(磁器所 在縣東 仇彦里 下品)-성산면 사부리 도요지

먼저, 예현리 자기소는 현재 사적으로 지정된 성산면 사부동, 기산동 도요지 일대를 말한다. 구언리 자기소는 사부리의 도롱골마을에 위치한 사부리 도요지일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곳에서는 ‘고령 인수부(高靈 仁壽府)’나 ‘고령 장흥고(高靈 長興庫)’ 등의 명문이 새겨진 상품의 분청사기를 생산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흑수리 자기소는 『세종실록지리지』의 성주목에 수록된 내용이다. 흑수리는 원래 성주목에 속했으나, 현재는 운수면 대평리의 흑수마을 일대로 보인다. 따라서 흑수리 자기소는 대평리 분청사기요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며리 자기소는 우곡면 사전리 도요지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문헌 자료를 통해 확인되는 고령 지역 자기소는 성산면, 운수면, 우곡면 등 4개소였다. 특히, 성산면사부동지산동 도요지는 상품의 도자기를 생산하는 곳으로, 중앙 관부인 장흥고나 인수부에 도자기를 직접 납품키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토기 및 도요지 현황]

고령 지역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한 것은 구석기시대부터로, 청동기시대의 유적인 고인돌과 선돌, 암각화 등이 다수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토기의 생산은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삼한시대의 것으로 반운리의 와질토기 유적이 확인된다. 그렇지만 실제 가마터가 확인되는 것은 대가야시대라고 할 수 있다.

현재 확인되는 대가야시대의 토기요지는 대가야읍내곡리 토기요지, 쌍림면 합가1리 토기요지, 합가2리 토기요지 등 3개소이다. 이외에도 대가야읍의 ‘연조리 토기요지’[연조리 산3번지 일대]가 기왕의 조사에서는 언급되나 직접 확인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고려시대의 토기요지로는 운수면화암리 토기요지가 조사되었다.

최근의 발굴 성과에 따르면 ‘대가야 양식 토기’[고령 양식 토기]는 지산동 고분군본관리 고분군 등 고령 지역은 물론 합천·거창·함양·산청 등 영남 지역과 남원·장수·진안·임실·구례·순천 등 호남 지역 등지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이처럼 대가야 양식의 토기가 출토되는 지역은 대가야 문화권이라 부르고 있다. 또한 일본 열도에서도 대가야 지역에서 건너간 토기들이 상당수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대가야 문화권에서 출토되는 토기는 해당 지역에서 직접 생산한 것들도 있지만, 고령 지역에서 생산된 소위 ‘고령산’ 토기들도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대가야 문화권에서 출토되는 엄청난 분량의 토기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고령을 중심으로 하는 대가야의 왕도 지역 인근에 대규모의 토기요지가 존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곳이 바로 내곡리합가리의 토기요지라고 할 수 있으며, 향후 조사를 통해 더 많은 대가야시대의 토기요지가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

대가야시대 이후 고령 지역에는 청자와 분청사기, 백자를 생산하던 도요지들이 다수 분포하고 있었다. 먼저, 성산면 지역의 성산 요지군으로 성산 사부동 도요지성산 기산동 도요지, 기산리 도요지, 사부리 도요지 등이 분포하고 있다. 이중 기산동 도요지사부동 도요지는 각각 사적 제71호와 제72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리고 운수면에는 대평리 분청사기요지[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79호]와 팔산리 도요지가 분포하고 있다. 쌍림면에는 합가리 도요지, 우곡면에는 사전리 도요지가 위치하고 있다. 이처럼 성산면운수면, 우곡면, 쌍림면 등 4개 지역에 위치한 도요지는 청자나 백자가 일부 확인되지만, 주로 분청사기를 생산하던 가마터였다. 더불어 쌍림면합가 2리덕곡면백리에서는 조선 후기의 백자요지가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까지 고령 지역에서 확인된 토기요지는 대가야읍내곡리연조리, 쌍림면합가 1리[개실마을]와 합가 2리, 운수면화암리 등 모두 5개소이다. 그 중 화암리 토기요지는 고려시대의 토기요지며, 나머지 4개소는 모두 대가야시대의 것이었다. 다음으로 성사면의 기산리사부리, 운수면 대평리팔산리, 우곡면 사전리, 쌍림면 합가리 등 모두 8개소에서 분청사기요지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쌍림면 합가 2리덕곡면 백리 등 2개소에서 백자요지가 조사되었다.[〈표-1〉 참조] 특히, 쌍림면 합가리 일대에는 대가야 토기, 분청사기, 백자 요지가 계기적으로 확인되는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현재까지 본격적인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그 성격이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 88올림픽고속도로 확장공사 구간에서 이루어지는 성산면사부리기산리의 도요지 발굴 조사가 완료되면, 고령 지역 도요지의 성격이 보다 명확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