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1957
한자 恒齋集
영어음역 Hangjaejip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인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74년연표보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연표보기
성격 문집
저자 이정규
편자 김인수|김용숙
간행자 조용학|이건모
권책 16권 4책
규격 18.9×28.5㎝

[정의]

충청북도 제천 출신의 문인이자 의병인 이정규의 문집.

[저자]

이정규(李正奎)[1865~1945]의 본관은 평창이며, 자는 치심(致心), 호는 옥산(玉山)·항재(恒齋)이다. 충청북도 제천 출신으로 1895년 이래 유인석(柳麟錫) 휘하에 종군하였다. 1977년 건국 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제자인 김인수(金麟洙), 김용숙(金容肅) 부자가 정리한 유고를 중심으로 편찬되었으며, 동문인 조용학(趙鏞學), 이건모(李建模) 등에 의해 1974년 대전 명신사(明信社)에서 간행하였다. 이를 1997년 제천 내제문화연구회에서 다시 영인하였다. 그 외 관련 자료로 제천의병전시관에 『통정잡고(通情雜稿)』가 있다. 여러 잡문을 모은 책이나 대부분 이정규 관련 자료이다.

[구성/내용]

『항재집(恒齋集)』은 16권 4책의 석인본으로, 크기는 18.9×28.5㎝이다. 내용은 항재선생문집서(恒齋先生文集序), 권1 시(詩), 권2~4 서(書), 권5 잡저(雜著)[「독역기(讀易記)」], 권6 잡저[「독서기(讀書記)」], 권7 잡저[「종의록(從義錄)」·「의병정사(義兵情事)」], 권8 잡저[「우계록(愚契錄)」·「산정문답(山亭問答)」·「한중문답(閑中問答)」·「쌍천문답(雙川問答)」·「산재한화(山齋閑話)」], 권9 잡저, 권10 잡저, 권11 서(序), 권12 기(記)·발(跋)·찬(贊), 권13 혼서(昏書)·상량문(上樑文)·고축(告祝)·제문(祭文), 권14 신도비명(神道碑銘)·묘갈명(墓碣銘)·묘지명(墓誌銘)·행장(行狀), 권15 행장, 권16 유사(遺事)·어록(語錄)·전(傳), 속집(續輯) 신도비명·묘갈명으로 구성되며, 부록 권1은 어록·제문·행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첫머리에는 이강협(李康協)이 쓴 서문이 있으며, 책 끝에는 이호창(李鎬昌)이 쓴 발문이 있다. 권2~4의 서에는 주로 의병 관련 인사들과의 서간이 수록되어 있어 제천의병의 거의 논리와 정신을 파악할 수 있다. 권7의 「종의록」은 제천의병의 전개 과정을 밝힌 것이며, 「의병정사」는 의병을 비도라고 선전하였던 관군 측 논리에 대해 의병 봉기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의병 측 입장을 밝힌 것이다.

권9의 「수변(讐辨)」은 의병 대의가 부자의 사사로운 정리를 넘어서고 있음을 적은 것이며, 「전설변(田說辨)」은 전우(田愚) 계열의 출처관을 비판한 것이다. 권12의 「북정일기(北征日記)」는 1900년 스승인 유인석을 찾아 요동에 갔다가 귀국하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며, 「제천향약일기(堤川鄕約日記)」는 일제의 침략에 대항해 여러 사람의 힘을 결집시키기 위해 만든 제천 향약의 조직 과정과 시행 내용을 적은 것이다.

그 외 유인석·이소응(李昭應)·이강년(李康秊) 등에 대한 행장이나 서상열·안승우·이춘영 등에 대한 유사 등의 비지문(碑誌文), 잡기, 유사, 어록 등에는 이정규 본인이 견문한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있다. 부록에는 김인수(金麟洙), 이호창(李鎬昌), 구영회(具永會)가 기록한 어록, 제문, 김용숙이 쓴 행장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한말 의병이자 문인이었던 이정규의 학문과 사상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실제 의병 참여자인 이정규 본인이 견문한 내용을 중심으로 수록함으로써 제천의병 거의 인사들의 교류 관계와 이념을 파악할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